‘흔들리는 코끼리’ 인도가 본격적인 경기부양에 나선다.
인도 정부는 25일(현지시간) 루피화 가치 안정과 내수 부양을 담은 새 경기부양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프라납 무커지 인도 재무장관의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부양안의 핵심은 경기부양의 가장 큰 걸림돌로 평가받는 루피화 가치의 하락을 막는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루피화 가치는 지난 1년간 달러에 대해 21% 하락했다. 연기준으로 아시아 통화 중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달러·루피 환율은 지난 22일 57.3275루피로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주 루피화 가치 하락폭은 2.9%로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많이 빠졌다.
인도는 원유 수요의 약 80%를 수입에 의존한다.
루피화 가치가 하락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져 기준금리 인하 등 경기부양책을 펼칠 여지가 좁아진다.
인도중앙은행(RBI)이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8%로 동결한 것도 인플레이션 압력 때문이라는 평가다.
인도 물가 기준인 도매물가지수(WPI)는 지난달에 전년보다 7.55% 올라 전문가 예상치 7.50%를 웃돌았다.
아울러 인도 기업의 외화 표시 회사채 상환 규모는 올해 총 53억달러(약 6조1400억원)로 사상 최고치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기업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라도 루피화 가치의 약세를 막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인도 자회사 크리실의 드하르마키르티 조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도 정부가 외화예금을 장려하고 외국인 투자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환율 안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인도 정부 관리는 “정부는 일부 품목에 대해 관세를 인하해 내수를 촉진하는 정책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는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70%에 달한다.
경기부양을 위해서는 소비 회복이 필수인 셈이다.
인도 경제에 대한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인도는 지난 3월 마감한 회계 4분기 경제성장률이 5.3%로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피치는 지난 18일 인도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강등하면서 “정부가 규제 완화 등 개혁을 서두르지 않을 경우 현재 ‘BBB-’인 인도의 신용등급이 정크(투기)등급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