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I완화, SNS서 반발…“젊은이 빚쟁이 만드나”

입력 2012-08-20 09: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정책을 놓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젊은이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7일 금융위원회가 DTI 규제 보완 방안을 발표하자 젊은이들이 SNS에서 활발하게 의견을 나눴다. 40세 미만 무주택 직장인에게 ‘10년 뒤 예상소득’을 반영키로 하는 내용이 알려지면서다. 이에 ‘soulplane’은 트위터에서 “젊은 세대를 잠재적 빚쟁이로 만드는 게 정부가 할 짓인가”라고 비판했다.

이어 ‘amen61’은 “속지 말아야. 더 떨어지는 것 불 보듯 한데…”라며 정부 정책을 믿지 못하겠다는 입장을 보였고 ‘못생긴나옹이’는 “정부가 자꾸만 DTI를 건드려서 부동산을 살려보겠다는 것은 다시 말하면 더 이상 다른 방법이 없다는 뜻”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섬진강’은 “젊은 층 빚내서 강남집값 떠받치라고…. 거꾸로 가는”이라며 “가뜩이나 경기침체에다 한국판 서브프라임이 시작될 위기에 처했는데 빚내서 집을 사? 그것도 10년 평균을 잣대로?”라며 냉소를 지었다.

기사를 보고 요약해 주는 글도 넘쳐났다. ‘j_oon’은 “부동산은 DTI 완화해주겠다고 했지만 이미 약발이 듣기엔 부동산 시장 숨넘어가고 있는 듯”이라며 “기사 읽다보니 DTI 완화돼도 실제 수혜층에 속하는 젊은 직장인은 4% 안팎이라고”라고 설명했다.

반면 ‘하얀쪽배’는 “제발 이렇게 해서라도 집값이 올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집값 하락으로 서민들만 허리가 휜다”며 “팔려고 해고 구경 오는 사람이 없고 집값이 떨어지는데 누가 사겠느냐”고 반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번엔 내린다” 채권·경제전문가, 2월 금통위 인하 예상…향후 추경이 관건
  • MWC 출격하는 이통3사…AI 패권 경쟁 불붙었다
  • 한은, 경제성장률 1.6%보다 더 낮출까…전문가 “1.4~1.7% 예상”
  • "차세대 AI PC 시장 공략"…삼성D, 인텔과 협력 '맞손'
  •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8% 올랐다
  • 50년 뒤 성장률 0.3%ㆍ나랏빚 7000조 돌파, 연금 2057년 고갈
  • '손흥민 8·9호 도움' 토트넘, 입스위치 꺾고 리그 12위 '유지'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211,000
    • -0.05%
    • 이더리움
    • 4,053,000
    • +2.25%
    • 비트코인 캐시
    • 482,200
    • +2.51%
    • 리플
    • 3,766
    • -1.08%
    • 솔라나
    • 250,900
    • -0.48%
    • 에이다
    • 1,130
    • -0.35%
    • 이오스
    • 947
    • +2.05%
    • 트론
    • 356
    • +1.14%
    • 스텔라루멘
    • 488
    • +0.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200
    • +3.02%
    • 체인링크
    • 26,190
    • +0.92%
    • 샌드박스
    • 520
    • -0.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