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 시장의 왜곡된 구조가 국내 결제시스템에 불안을 가져온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윤성관 과장은 11일 '유동성 공급충격이 콜 결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콜 거래는 금융기관끼리 하루 이틀 초단기로 급전을 빌리고 갚는 것으로 현재 콜 자금의 52%는 자산운용사가 공급하고 있다.
윤 과장은 이에 대해 콜 거래의 경우 그간 자산운용사가 각 금융사의 금리에 따라 콜 공급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금융권역별 신용 수준에 따라 공급량을 할당해왔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금융위기 때의 경우 자산운용사는 신용도가 좋은 시중은행에는 자금 공급을 확대했지만 신용위험이 큰 증권사에 콜 공급을 급격히 줄였다는 분석이다.
윤 과장은 "결국 일부 금융기관은 콜 자금을 아예 받지 못해 유동성 상황이 악화했다"며 "자산운용사로서는 최적의 선택이지만 전체 결제시스템에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금융위기 기간에 대량환매수요가 발생하면 시중은행의 계약체결은 평균 13분, 증권사의 계약체결은 17분 지연된다는 분석이다. 금융회사가 급전을 구하지 못해 결제를 계속 미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한은 금융망의 마감시간인 오후 4~5시 사이 결제집중률은 평상시보다 4%포인트 높아졌다. 결제가 같은 시간에 몰릴수록 결제사고 위험은 커지게 된다.
때문에 윤 과장은 "자산운용사의 신용할당 행태가 시스템적 리스크를 불러올 수 있다"며 "자산운용사의 거래집중도를 감시하고 콜 거래 대신 기관 간 RP거래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