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지라, 고어 전 미 부통령 설립 ‘커런트TV’ 인수

입력 2013-01-03 10: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적극적 공략 계획

아랍권 위성방송사 알자지라가 미국 케이블 채널 ‘커런트TV’를 인수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커런트TV는 7년전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과 조엘 하얏트 최고경영자(CEO)가 공동창업했다.

알자지라는 커런트TV 채널을 변경하기보다는 ‘알자리라 아메리카’라는 새 채널을 신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 채널은 미국에서 프로그램의 60% 정도를 자체 제작하고 나머지 40%는 기존 영어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을 가져다 방영할 계획이다.

알자지라는 커런트TV 인수를 통해 미국 내 점유율을 높일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앞서 뉴욕타임스(NY)는 카타르 정부의 지원을 받는 알자지라가 미국 내 6000만 가구에서 시청 가능한 커런트TV를 인수하면 CNN을 비롯한 미국의 뉴스채널 등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커런트TV는 미국 전역에서 시청 되고 있어 알자지라는 미국 내의 보다 많은 지역에서 시청자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현재까지 미국의 케이블 및 위성방송 배급업체들은 알자지라 영어방송의 배포를 꺼려 뉴욕과 워싱턴 등 일부 개 도시에서만 시청이 가능했다.

‘알자지라 효과’의 저자인 필립 세이브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공공외교센터 소장은 “알자지라가 미국인 시청자들을 놓고 경쟁하고 싶다면 진입 통로를 찾아야 한다”면서 “광고주에 대한 접근이나 ‘언론 정당성’ 확보를 위해서라도 미국인 시청자들에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알자지라는 현재 뉴욕과 워싱턴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시카고에 있는 지국 외에 미국내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새 지국을 개설할 예정이다.

고어 전 부통령과 사업가 조엘 하얏트 등은 지난 2005년 8월 미국 전역을 커버하는 케이블·위성 네트워크 커런트TV를 출범했으나 최근 시청률 부진으로 고전하고 있다.

커런트TV는 출범할 당시 지구온난화 현상을 막는 데 주력했으나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면서 진보성향의 토크 프로를 앞세워 재도약을 모색하고 있는 상태다.

시청률 조사회사인 닐슨은 커런트TV의 지난해 일일 시청자수는 평균 4만2000명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 '나솔' 24기 영식, "나는 옥순바라기"…역대급 돌진에 시청자도 경악 "레전드"
  • 尹측 "중대 결심" 마지막 변론서 재판부에 경고…尹 직접 신문은 제지
  • 대만 타이중시 신광미츠코시 백화점 폭발 사고 현장 모습
  • 비트코인, 미 증시 하락에도 상승…"ETF 승인 기대감 유효" [Bit코인]
  • "장원영 조문 요청, 강요 아닌 부탁…아빠의 마음이었다"
  • 모두 지드래곤이 되면 좋겠지만…아이돌이 론칭한 브랜드, 결말은?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2.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49,000
    • -1.41%
    • 이더리움
    • 3,998,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1.86%
    • 리플
    • 3,686
    • -0.67%
    • 솔라나
    • 290,600
    • -1.49%
    • 에이다
    • 1,188
    • -0.08%
    • 이오스
    • 973
    • -2.7%
    • 트론
    • 357
    • -3.25%
    • 스텔라루멘
    • 495
    • +0.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00
    • -2.39%
    • 체인링크
    • 27,840
    • -1.73%
    • 샌드박스
    • 590
    • -1.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