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노믹스’를 주도할 새 정부 경제부처 수장이 17일 3차 인선을 통해 라인업됐다.
경제부총리를 겸한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 분야 컨트롤 타워를 맡고, 미래창조과학부가 고용노동부 등과 협력해 일자리 창출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성장과 분배를 적절히 소화할 진용이 갖춰졌다는 평가가 많지만,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강조해 온 성장과 경제민주화 투 트랙 전략에는 다소 물음표가 찍힌다. 경제 관련 부처 장관 내정자들 중 그간 경제민주화에 큰 관심을 갖거나 소신을 펴 온 인물이 전무하다는 점에서다. 이 때문에 초기 내각은 경제민주화보다는 복지 확대를 통한 ‘보편적 복지 실현’이라는 박 당선인의 공약이 보다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방점이 찍힌 것으로 분석된다.
경제부총리에 내정된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평소 스타일로 봤을 때 박근혜 정부 초기 경제 기조를 ‘위기 관리’와 ‘공격적 거시정책’을 동시에 이끌어 갈 것이란 지적이다.
특히 재정전문가이면서도 재무부 출신이 아닌 경제기획원(EPB) 출신이라는 점은 박 당선인이 성장, 경제민주화보다 우선 공약을 이행하는 데 더 무게를 뒀다는 분석을 뒷받침해준다.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복지 등 대선 공약을 100% 이행하겠다는 박 당선인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얘기다.
현 경제부총리 내정자는 재정의 융통성 있는 운용과 금리 인하 등을 주장해 온 거시경제 전문가로서, 효율적인 재원의 분배를 통해 박 당선인의 공약을 이행하는 데 앞장설 것으로 예상된다.
복지부 장관에 박 당선인의 의중을 잘 아는 진영 인수위 부위원장이 내정된 것도 박 당선인이 공약 이행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방증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과 미래 먹거리 산업을 주도할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김종훈 미국 알카텔-루슨트 벨연구소 사장을 선임한 건 외국의 선례를 벤치마킹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을 통한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 하겠다는 의도다.
김 내정자는 벤처기업을 창업해 38세에 미국 400대 부자로 꼽히고, 몰락하던 벨연구소 사장을 맡아 회생시키는 등 세계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 감각을 겸비한 인재다. 이런 성공신화가 미래창조부에서 다시 재현될 수 있을지 관심을 끈다.
다만 이들 모두 ‘경제민주화’에 대해선 뚜렷한 소신이 없다는 것이 보완돼야 할 부분으로 꼽힌다.
향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 임명이 마무리되면 초대 박근혜 노믹스를 주도할 경제라인은 사실상 마무리된다.
박 당선인은 그간 청와대가 아닌 정부가 주도적으로 정책을 이끌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단언했다. 하지만 경제수석에 누가 배치되느냐에 따라 경제부총리의 부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와대가 최종 조율 기능을 가질 것이란 관측도 있어 앞으로 있을 청와대 인선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