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국내 주요 방송·금융기관의 전산망을 마비시킨 악성코드는 중국 IP를 통해 유입된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합동조사팀은 22일 방통위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추가 조사결과 농협에서 발견된 중국 IP 주소는 농협 내부에서 사용하는 내부망 IP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농협내 중국 할당 IP 발견은 우연의 일치"라고 덧붙였다.
이는 국가정보원, 행전안전부, 방통위, 경찰청 등 10개 부처가 모인 합동조사팀의 21일 발표결과를 정면으로 뒤짚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또 합동조사팀은 중국 IP가 아닌 것을 확인하고도 하루동안 밝히지 않아 국내 모든 언론은 합동조사팀의 발표와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 등을 근거로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농협의 경우 공격 경유지로 사용됐을 가능성은 있지만 지원지가 어디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고, 악성코드를 심어 놓은 것도 최근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지금까지 14종의 악성코드가 발견돼 악성코드의 변종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합동조사팀 관계자는 "국민을 속이고 있다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이계철 방통위원장의 지시로 브리핑을 가졌다"고 밝혀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섣불리 발표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