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5월 기준금리 인하는 정부의 추경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인하결정이 엔저 대책이나 경제전망 변화에 기인한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9일 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연 2.50%로 결정한 뒤 가진 기자 설명회를 통해 "기준금리 인하 결정은 선제적이기보다는 정부 추경정책의 효율성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유럽중앙은행 등의 금리인하 등의 양적완화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특히 김 총재는 이번 금리인하를 통해 추경효과 극대화를 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했다고 밝혀 인하 결정이 정부와의 정책조합의 일환이였음을 시사했다. 또한 이번 기준금리 인하 등의 효과로 내년 경제성장률은 4%대로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정·청의 요구에도 지난달 인하결정을 미룬 것에 대해서 김 총재는 "인하 결정은 선택의 문제로 지난달에는 여러 선택의 가능성이 열려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4월 금통위는 기준금리 동결 대신 신용정책인 총액한도대출 증액을 선택한 바 있다.
대신 김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 결정이 4월 경제전망의 수정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김 총재는 "지난달과 경기전망은 변동이 없으며 상저하고는 유효하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상저하고 전망은 IMF 등 글로벌 전망과 일치한다는 설명이다.
다만 지난달 물가전망과 관련해서는 유가 및 농산물 가격의 하락으로 물가가 예상치보다 낮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금리인하가 아베노믹스에 따른 엔저대책의 대응책이냐는 질문에 김 총재는 국내외 환율을 가지고 통화정책을 추진하는 나라는 없다며 대신 엔저현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김 총재는 이 달부터 금통위를 통해 기준금리 결정시 소수의견 수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총재는 이번 금리결정에는 1명이 소수의견인 동결을 제시했으며 이는 자신이 아니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