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경제대국 3국이 북극이사회의 영구 옵서버 자격 획득을 추진하고 있다고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스웨덴 키루나에서는 오는 15일 북극이사회의 2년 주기 정례 회의가 개최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임시 옵서버인 한국을 포함해 영구 옵서버 자격을 신청한 14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북극이사회 정식 회원국은 미국과 스웨덴 캐나다 러시아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등 8국이다.
아시아 3국 이외에도 싱가포르와 인도 이탈리아 유럽연합(EU)도 영구 옵서버를 신청했다.
지난 1998년 북극이사회가 설립된 이후 주로 환경 문제가 논의됐으나 최근에는 에너지와 북극항로 등 산업활동에 대한 논의도 이뤄지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캐나다 소재 싱크탱크인 국제지배구조혁신센터의 제임스 매니콤 연구원은 “중국과 일본 한국은 북극이 앞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제 그들이 북극에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말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북극은 약 900억 배럴의 석유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USGS는 세계에서 아직 발견이 되지 않고 기술적으로 채취가 가능한 에너지자원의 22%가 북극에 매장돼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북극은 오는 2050년까지 여름에 거의 모든 지역의 얼음이 녹아 북극항로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된다.
중국은 지난달 아이슬란드와 유럽 국가 중 최초로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지난해 6월 후진타오 당시 국가 주석이 덴마크를 방문해 각종 경제협정을 맺는 등 북극 진출을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매니콤 연구원은 “다만 중국이 해상 영유권 분쟁에서 호전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일부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지난 3월 니시바야시 마쓰오를 북극 대사로 임명했다. 니시바야시 대사는 “북극의 얼음이 녹는다는 것은 배들이 북극을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우리는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 여부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