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공단이 국가산업단지의 경쟁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신성장 동력 방안을 모색한다.
산단공은 21일 서울 구로구 내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오는 28일부터 충청권을 시작으로 대경권, 동남권, 호남권, 수도권 권역별로 ‘산업단지 창조경제 거점화’라는 주제하에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산업단지의 성장 잠재력 저하, 혁신역량 취약 및 일자리 창출 부진과 같은 문제점 해소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된 것이다. 산단공은 포럼에서 나온 의견들을 취합해 10월 중 대정부 건의문을 제출할 계획이다.
산단공은 현재 산업단지가 고기술·고부가가치 중심의 산업구조변화 대응에 느려 미래 성장거점으로서 잠재력이 악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입주기업의 72%가 전통 제조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고 전자정보기기, 반도체, 메카트로닉스 등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지식기반산업의 비중은 27%에 불과하다는 것.
여기에 지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노후산단으로 분류되는 반월·시화, 남동, 구미단지의 경우 부가가치율(40.4→35.4%) 하락폭이 같은 기간 전국제조업 수준(35.5→32.2%)보다 큰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수요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해 공동화 및 기업 영세화 현상이 나타나는 점도 개선과제로 꼽혔다. 입주기업 4곳 중 1곳(23.5%)은 이주를 고려하고 있으며 이주를 고려하는 10개 기업 중 4곳은 국외 산업단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휴·폐업하는 공장부지가 증가하는 추세로 접어들었다.
영세업체가 기존공장 부지를 임대 또는 분양 받아 진입하는 현상도 생겨나고 있다. 실제 근로자 50인 미만의 소기업 비율은 지난 2007년(87%)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1년에는 92%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근로자 50~300인의 중기업은 12%에서 7%로 하락했다.
일자리 창출의 부진 역시 해결 과제로 지적했다. 교육, 문화, 복지시설 부족과 사회적인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청년층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것.
이에 산단공은 산업단지를 경제변화에 보폭을 맞출 수 있는 곳으로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인화 산단공 투자창업실장은 “산업의 경쟁요소가 많이 바뀌었고, 경제구조도 변화하고 있는 만큼 산업단지도 단순 모방형에서 선도적이고 창의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남재희 상무는 “국내의 경우 산업용지가 70%가 넘는 경우가 있어 산업단지가 비인간적이라는 지적도 있다”며 “최근에는 산업용지 비율을 30~40% 정도로 줄이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으며 근무 환경을 위해 도로, 공원 등을 확대하는 것을 구상 중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