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 24호 태풍 다나스가 북상 중인 가운데 태풍의 이름에 담긴 의미에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은 1953년부터다. 태풍은 일주일 이상 지속되고 동시에 같은 지역에 하나 이상의 태풍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태풍 예보를 혼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처음으로 태풍에 이름을 붙인 사람은 호주의 예보관들로 당시 호주 예보관들은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는 미공군과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태풍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는데 이때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했다. 이러한 전통에 따라 1978년까지는 태풍 이름이 여성이었지만 이후부터는 남자와 여자 이름을 번갈아 사용했다.
2000년부터는 아시아태풍위원회에서 아시아 각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태풍 이름을 서양식에서 아시아 지역 14개국의 고유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기로 정했다.
우리말로 된 태풍 이름은 남한과 북한을 합쳐 20개 정도 된다. 우리나라가 제안해 선정된 태풍 이름은 개미, 제비, 나리, 너구리, 장미, 고니, 수달, 메기, 노루, 나비 등 10개이고, 북한이 제안한 이름은 기러기, 소나무, 도라지, 버들, 갈매기, 봉선화, 매미, 민들레, 메아리, 날개다.
태풍이 큰 피해를 끼친 경우에는 해당하는 태풍의 이름은 폐기시키고, 다른 이름으로 바뀌게 된다.
한편 15년 만에 발생한 10월 태풍 다나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경험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