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말 은행지주 BIS비율 13.26%...2년만에 최고치

입력 2013-12-0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은행지주사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상승세로 전환, 2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달 부터 시행되는 강화된 자본규제인 바젤Ⅲ에 대비해 은행권이 후순위채 발행을 늘렸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9월 말 현재 국내 은행지주사의 연결 BIS비율이 전분기(12.59%)보다 0.31%포인트 상승한 13.26%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BIS비율은 지난 1분기(0.12%포인트)와 2분기(0.16%포인트) 연속 하락했지만 3분기 큰폭 오르며 지난 2011년 9월(13.52%)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같은기간 기본자본비율(Tier1비율)도 10.47%로 0.11%포인트 상승했다. BIS비율 상승은 후순위채 발행에 따른 자기자본 증가에 기인한다. 후순위채 발행(3조7000억원), 순이익 시현에 의한 이익잉여금 증가(1조3000억원) 등에 힘입어 올 3분기 은행지주의 자기자본은 3.20% 확대됐다.

올 1분기 은행지주의 후순위채 발행은 전혀 없었지만 2분기 1조8000억원에 이어 3분기에는 발행 규모가 3조7000억원까지 늘었다.반면 위험가중자산은 원화대출금 증가(18조6000억원)에도 불구하고 환율 하락 등으로 외화자산이 감소(5조7000억원)하면서 소폭 증가(0.84%)하는데 그쳤다.

은행지주회사별로는 씨티지주(17.71%)의 BIS비율이 가장 높았고 하나지주(11.41%), 농협지주(11.13%)와 신설사인 JB지주(11.66%)가 11%대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우리지주는 원화대출 등 위험가중자산의 성장세 유지 등으로 은행지주회사 중 유일하게 전분기 대비 BIS비율이 하락(12.70%→12.66%)했다.

이재용 금융지주회사 감독팀장은 “은행지주회사의 BIS비율이 전분기와 비교해 대부분 상승했지만 후순위채 발행을 통한 보완자본 위주의 자본확충이 주로 이뤄졌다”며 “향후 수익성 개선 등을 통한 자본의 질적 개선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애플, 미국으로 공장 이전할 것…수억 달러 미국 투자도”
  • 한화가 기다리고 있는 LCK컵 결승, 최종 승리 팀은 어디가 될까? [딥인더게임]
  • [투자전략] 이제는 금보다 은?…ETF로 투자해볼까
  • 애니메이션으로 돌아오는 퇴마록…이우혁 표 오컬트 판타지 [시네마천국]
  • "양산서 미나리 맛보세요"…남이섬ㆍ쁘띠 프랑스에선 마지막 겨울 파티 [주말N축제]
  • 점점 치열해지는 글로벌 빅테크 '양자' 경쟁
  • ‘무신사 장학생’ 데뷔 팝업…차세대 K패션 브랜드 ‘시선 집중’ [가보니]
  • ‘싱글몰트 위스키 대명사’ 글렌피딕 제대로 즐기는 방법은? [맛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094,000
    • -1.9%
    • 이더리움
    • 3,950,000
    • -2.35%
    • 비트코인 캐시
    • 468,100
    • -2.34%
    • 리플
    • 3,794
    • -2.77%
    • 솔라나
    • 251,600
    • -1.56%
    • 에이다
    • 1,131
    • -3.99%
    • 이오스
    • 920
    • -2.44%
    • 트론
    • 352
    • -4.09%
    • 스텔라루멘
    • 483
    • -3.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50
    • -3.19%
    • 체인링크
    • 25,780
    • -3.41%
    • 샌드박스
    • 520
    • -4.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