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이 소니 CEO “비용 감축 위해 칼 빼들었다”

입력 2014-01-23 15: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히라이 가즈오 소니 최고경영자. 블룸버그

히라이 가즈오 소니 최고경영자(CEO)가 그간 회사 부진의 원인으로 지적돼온 영화사업부 구조조정을 단행한다고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히라이 CEO는 대규모 비용 감축에 나서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찰스 시프킨스 소니 영화사업부 대변인은 이날 크리스 쿡슨 소니픽쳐스 테크놀로지스 대표가 자리에서 물러나며 해당 사업부의 구조조정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시프킨스 대변인은 “앞서 회사가 밝힌 사업부 체질 개선을 위한 노력의 하나로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는 소니픽쳐스 테크놀로지스의 기능을 핵심 사업부로 흡수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구조조정 인원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통신은 전했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회사는 또한 소니 스튜디오 산하에 있는 홈엔터테인먼트 사업부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섰다. 이에 따라 미치 싱어 소니 최고 디지털 전략 책임자도 자리에서 물러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구조조정은 히라이 CEO가 지난해 11월 약속한 2억500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에 대한 첫 행보라고 통신은 전했다.

소니는 또한 콜럼비아픽쳐스 영화 제작 편수를 줄이는 대신 텔레비전 콘텐츠와 미디어 네트워크 투자를 확대했다.

소니의 주요주주인 다니엘 롭 서드포인트 CEO는 지난해 5월 엔터테인먼트 사업부 부진을 이유로 부분 매각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같은 해 8월 히라이 CEO는 롭의 제안을 단호히 거절했다. 해당 사업부의 100% 소유가 회사 부진 탈출에 필수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대신 비용절감 전략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사업 수익성을 강화하고 영화·TV·음악 사업부 유지에 힘썼다.

히라이 이러한 노력은 서서히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롭 CEO는 지난 21일 투자자들에게 보내는 서한을 통해 “소니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회사의 투명성이나 책임을 잘 이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회사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어렵지만 중대한 결정을 내리길 바란다”고 전했다.

허드슨스퀘어리서치에 따르면 소니 영화사업부의 3분기 순익이 228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년동기 2530만 달러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소니 1년간 주가 추이. 23일(현지시간) 종가 1764엔.블룸버그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239,000
    • +0.34%
    • 이더리움
    • 4,862,000
    • +2.01%
    • 비트코인 캐시
    • 546,000
    • +2.73%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9,800
    • +7.7%
    • 에이다
    • 549
    • -0.72%
    • 이오스
    • 826
    • +2.23%
    • 트론
    • 172
    • -1.71%
    • 스텔라루멘
    • 130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1.18%
    • 체인링크
    • 19,950
    • +1.42%
    • 샌드박스
    • 484
    • +2.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