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거래규모가 고위험 상품을 중심으로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외부충격 발생 시 위험전이 채널로 작용해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시장의 최근 동향 및 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6월말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의 거래잔액은 39조8000억원으로 2012년 말(26조1000억원)에 비해 52.5% 증가했다. 비정형 파생상품 거래는 파생상품을 파생상품 또는 다른 금융상품과 합성하거나 일반파생상품과는 달리 거래조건을 변형시킨 계약을 의미한다.
특히 레버리지 조건 등이 포함된 고위험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거래가 증가 추세다.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은 구조상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 가격 변동성 및 헤지의 용이성 등을 고려해 베리어(Knock-In/Out), 디지털 및 레버리지 조건 등을 포함하는 파생상품으로 정의한다.
베리어 또는 레버리지 조건 포함 옵션이 고위험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의 대부분(2013년 6월 말 97.7%)을 차지하면서 그 규모도 2012년 말에 비해 각각 1.9배, 4.7배 크게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국내은행과 외은지점 모두 비정형 통화파생상품 거래잔액이 늘어난 가운데 외은지점의 거래잔액이 더 크게 증가했다. 고위험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의 경우 작년 6월 말 거래잔액의 86%를 외은지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중소기업, 증권사·보험사 등의 순으로 증가 규모가 컸다.
박종열 한은 금융검사분석실 팀장은 거래증가 요인에 대해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의 가격변수인 통화옵션의 내재변동성이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며 “헤지비용 절감(수요자 측면), 고수익 창출(공급자 측면) 등 상품 고유의 특성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현재의 거래규모로 보면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향후 예상치 못한 외부충격 발생 시 위험전이 채널로 작용해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외환시장에서 환율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비정형 통화파생상품은 기초자산가격이 행사가격에 근접하거나 만기가 다가올수록, 또는 레버리지가 클수록 대고객 거래 관련 헤지를 위한 현물환 매입·매도 거래가 급격히 늘어나 환율 변동성을 증폭시키는 채널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 특정 환율(1150원), 행사가(1140원), 내재변동성(14%), 만기(1일) 등 조건에서 비정형 파생상품(디지털 콜옵션)의 델타 및 감마 헤지 규모는 정형 파생상품(바닐라 콜옵션)에 비해 각각 10배, 7배 큰 것으로 추산됐다.
은행의 경우 거래상대방 및 시장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 기업 고객의 파생상품 관련 손실 발생 등의 우려도 제기된다.
박 팀장은 “파생상품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은행, 기업 등 시장 참가자들의 역량 제고와 함께 금융당국도 관련 상품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