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에 겨울 한파가 지나고 봄이 오는 모양새다. 시장에서는 집값 '바닥론'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정부에서도 시장이 바닥을 통과해 정상궤도에 진입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각종 지표도 이를 방증한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분석한 1월 주택 거래량은 5만884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 급증했다. 최근 5년간 1월 평균치보다 36%가량 많다. 아파트값도 상승세다.
1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값은 0.02% 상승해 5개월 연속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 집값 하락을 주도했던 버블세븐 중대형 아파트의 매매가격도 35개월 만에 반등했다. 미분양 주택 수치도 긍정적이다. 지난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도 총 6만1091가구로 부동산시장 활황기인 지난 2006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 들어 경매시장도 북새통이다. 1건에 200여명이 몰리는 경우까지 생겨날 정도다. 제주 단독주택 경매에는 180여명 이상이 몰려 감정가의 2배가 넘는 낙찰가를 쓰고 경락을 받아갈 정도다. 실제로 아파트 경매 1건당 입찰 참여자가 지난해까지만 해도 5.5명 수준에 머물렀으나, 올 들어 7.0명 수준으로 증가해 경매 참여자가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수도권 국민주택 규모 이하 아파트의 낙찰가율 역시 지난해 1월 79.4% 수준이었으나 올 1월 무려 88.8%로 높아지는 등 가격경쟁 역시 치열하다. 유찰 없이 한 번에 낙찰되는 경우가 흔하게 생겨날 정도다. 그만큼 시장 회복과 함께 투자 수익이 확보될 것으로 내다보는 수요자가 많다는 얘기다.
주택시장 회복 반전 분위기는 분양 및 분양권 시장에도 강하게 투영되고 있다. 아파트 견본주택에 실수요 내방객이 대거 몰려 청약과 계약률이 크게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최근 서울 금천구 독산동 롯데캐슬 골드파크 견본주택에는 6만여명이 몰린 가운데 입장을 위해 줄을 서는 진풍경이 벌어질 정도다.
주택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일단 시장이 점화됐다는 데는 의견을 함께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거래 증가와 일부 가격 움직임이 올 들어 본격 탄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연초 자산 시장에 불어닥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 영향에서 보듯이 대외적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가계부채 증가, 실질구매력 하락 등이 집값 상승에 발목을 잡을 수 있어 대대적인 오름세는 어렵다는 것이다.
장재현 부동산 뱅크 팀장은 “전셋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세입자들이 전세 인상분을 은행 대출로 충당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정부의 기대처럼 내수 경기가 회복하더라도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에 주택 매매가 과거처럼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집값 상승세에 대한 경계론도 만만치 않다. 장 팀장은 “집값이 반짝 상승할 수는 있겠으나 주택 구매력, 인구 추이 등을 분석해보면 이미 ‘대세 하락기’로 접어들었다고 봐야 한다”며 “냉철하게 미래 집값을 예측하고 거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