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썩이는 사물인터넷주…"실적 수혜주 없어"

입력 2014-02-28 09: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에 대한 시장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국내 증시에서는 아직 수혜주가 거의 없다는 증권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뚜렷한 공급 성과나 기술력이 없는데도 기대감에 주가만 들썩이고 있는 것이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효성ITX는 사물인터넷 테마주로 꼽히며 올해 들어서만 주가가 99.09% 상승했다.

함께 테마주로 묶인 기가레인은 86.37% 올랐고 엔텔스(41.63%), 모다정보통신(33.38%), 유비쿼스(11.54%) 주가도 훌쩍 뛰었다.

사물인터넷은 가전제품과 전자기기뿐 아니라 헬스케어,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이다.

사물인터넷이 관심을 끌면서 이를 구현하는 플랫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칩, 모듈, 무선망 기술이 있는 '수혜주 찾기'도 시작됐다.

그러나 가시화된 사물인터넷 수혜주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 증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사물에 부착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칩의 경우 기술 진입 장벽이 높아 퀄컴,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등으로 공급업체가 한정돼 있다. 국내에선 생산 가능한 기업이 없는 상황이다.

박혜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그룹이 만든 벤처투자조합이 2대 주주로 있는 알파칩스[117670]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칩 생산 의지를 밝혔지만, 공급 실적이 없어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컨트롤러 칩에 무선송수신 칩을 더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모듈과 관련해서는 유비쿼스 자회사인 모바일에코와 모다정보통신이 수혜주로 꼽힌다.

박혜진 연구원은 "모듈의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 아니지만 국내 기업들은 대규모 공급 경험이 없고, 구체적으로 대규모 공급을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효성ITX는 직접적으로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 않은 데도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전송서비스 사업 등 시장이 커졌을 때 활용도가 높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주가가 급등했다.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 역할을 하는 플랫폼과 관련해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엔텔스에 공급 실적이 있다.

박 연구원은 "엔텔스가 SK텔레콤 등과 함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고 있어 앞으로 구체적인 실적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애플, 미국으로 공장 이전할 것…수억 달러 미국 투자도”
  • 한화가 기다리고 있는 LCK컵 결승, 최종 승리 팀은 어디가 될까? [딥인더게임]
  • [투자전략] 이제는 금보다 은?…ETF로 투자해볼까
  • 애니메이션으로 돌아오는 퇴마록…이우혁 표 오컬트 판타지 [시네마천국]
  • "양산서 미나리 맛보세요"…남이섬ㆍ쁘띠 프랑스에선 마지막 겨울 파티 [주말N축제]
  • 점점 치열해지는 글로벌 빅테크 '양자' 경쟁
  • ‘무신사 장학생’ 데뷔 팝업…차세대 K패션 브랜드 ‘시선 집중’ [가보니]
  • ‘싱글몰트 위스키 대명사’ 글렌피딕 제대로 즐기는 방법은? [맛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151,000
    • -1.86%
    • 이더리움
    • 3,954,000
    • -2.49%
    • 비트코인 캐시
    • 468,500
    • -2.23%
    • 리플
    • 3,797
    • -2.96%
    • 솔라나
    • 251,700
    • -1.76%
    • 에이다
    • 1,130
    • -4.4%
    • 이오스
    • 924
    • -2.33%
    • 트론
    • 353
    • -4.08%
    • 스텔라루멘
    • 484
    • -3.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50
    • -3.19%
    • 체인링크
    • 25,780
    • -3.81%
    • 샌드박스
    • 520
    • -5.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