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사고 이후 국정이슈가 안전으로 전환되면서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에도 여파가 미치고 있다.
특히 한수원이 고리원전 1호기와 월성원전 1호기의 재연장을 추진 중인 가운데 지역사회와 여론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실정이다.
고리 1호기는 가동한 지 20년이 지나서 증기발생기를 교체하고 2008년 10년 수명연장을 신청해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36년째 가동 중이다. 월성원전 1호기는 핵연료가 들어 있는 2009년 압력관을 교체하고 같은 해 12월 31일 10년 수명연장을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신청해 놓은 상태이다.
이중 고리 1호기의 경우 부산시장선거에 나선 후보들 모두 고리1호기의 폐쇄를 핵심공약으로 내건 상황이다.
세부적으로는 새누리당 서병수 후보가 수명이 연장된 2017년까지 폐쇄를, 새정치민주연합 김영춘 후보가 즉각 폐쇄를, 무소속 오거돈 후보는 안전진단 후 문제시 즉각 폐쇄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한수원 관계자는 "부산시가 고리1호기의 수명연장에 관여할 권한은 없지만 지역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면서 "재연장 신청이 얼마 안남은 시점이라 곤란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2012년 11월 설계수명 만료로 1년 6개월째 멈춰 서 있는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 여부 결정 또한 난항이다. 당초 지난해 모든 검증 절차를 마치고 결론을 낼 예정이었으나 해를 넘겼고, 스트레스 테스트 등의 일정을 고려할 경우 올해 안에도 결정이 날지 장담할 수 없다.
이 가운데 세월호 사고가 일어나면서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 여부는 어느쪽이든 논란이 될 전망이다. 수명 연장이 결정되면 노후 원전의 위험성을 간과했다는 비판이 일 수 있고, 원자로를 폐쇄하면 해체비용 6000억원보다 많은 7000억원을 들여 안전 보수를 실시한 한수원의 손해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에 한수원은 설계수명에 대해 미국의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명을 빌어 경제적, 독점금지를 고려한 기간으로 기술적 제한기간은 아니라며 적극 해명하고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3월말 기준 100기의 가동원전 중 키와니원전, ANO 1호기 등 72기가 60년의 계속운전을 승인받아 이중 24기가 계속운전 중에 있으며, 향후 80년까지 계속운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계속운전 정책은 미국의 운영허가갱신제도와 국제원자력기구에서 권고한 주기적안전성평가 모두 반영하여 엄격하게 관리하기 때문에 수명연장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