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사의 등급 인플레가 도마 위에 올랐다. 신평사들의 중징계가 내려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신평사의 회사채 신용등급의 A급 이상에 대한 실효성에도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는 모습이다. 회사채 등급 인플레이션 현상도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19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으로 투자등급 'BBB-' 이상을 받은 회사채는 335개로 전체의 89.8%에 달했다. 투기등급 'BB+' 이하의 회사채는 38개로 전체의 10.2%를 차지했다. 'A'급의 비중은 올해 초 30.8%에서 지난 1분기 말 31.5%로 늘었다. 같은 기간 'AA'급의 비중은 33.5%에서 33.9%로 증가했고, 'AAA'급은 16.1%에서 16.4%로 늘었다. 이에 따라 A급 이상의 비중은 연초 80.4%에서 지난 1분기 말 81.7%로 늘어난 반면, 'BBB'급의 비중은 9.4%에서 8.1%로 줄었다.
NICE신용평가의 회사채 등급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 1분기 말 기준으로 투자등급 비율은 올해 초 88.3%보다 0.6%p 늘어난 88.9%, 투기등급은 11.7%에서 11.1%로 줄었다. 'A'등급 이상의 회사채 비율은 78.4%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의 회사채 등급 인플레 현상은 국제 신평사들의 등급 평가와 비교해보면 괴리가 훨씬 크게 나타나고 있다.
무디스에서의 4800개 기업에 대한 등급을 살펴보면 'A'급 이상의 비중은 채 30%도 안된다. 'BBB~B'등급의 전체 비중은 6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신평사들이 등급에 관대한 것은 계열의 지원 가능성과 관련한 긍정적인 면이 많이 부각됐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KT ENS의 경우 법정관리를 신청하기 전 'A(안정적)' 등급을 받았지만 이는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이 반영된 결과다. KT ENS가 KT의 지원을 받지 못해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신용등급 체제가 신용과 관련해 적절치 못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셌다.
기업이 신평사에 비용을 내고 신용등급을 받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어 기업 입장에서 등급 쇼핑에 나서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케 했다. 신평사가 기업의 눈치를 보는 상황이 지속되며 등급 발표 시기조차도 기업에 유리하게 조절하거나 등급을 상향 조정하는 사례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금융감독원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등 국내 신평사 3곳의 임직원들에게 징계 수위를 통보하기로 했다. 신평사의 징계는 7월 초 제재심의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신평사에 대한 징계가 기업과 신평사 간의 불공정한 연결 고리가 끊어질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기업 평가를 담당하는 직원이 영업에도 나서고 있어 기업과 신평사 간의 유착관계가 단절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반면, 최근 포스코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우량등급인 'AAA' 등급을 상실한 것이 등급 인플레가 해소되는 시발점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코의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됐다는 것은 여타의 기업들에도 압박 요인이 될 것이라며 부합하지 않는 실적을 내놓은 기업들에 대해 연쇄적인 등급 조정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