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의 ‘경제 회복 우선’을 외치는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와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새로운 경제동맹을 맺는다면 양측 모두에게 ‘윈윈전략’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들 양국의 교차 투자 규모가 아직 크지 않지만 양국 모두 현재 현 총리 지휘하에 시장개방형 개혁을 단행 중이고 상대적인 이점을 공유하고 있어 이들 경제가 협력에 나선다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 노무라홀딩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인도가 필요한 상당 부분은 일본이 제공할 수 있는 것들”이라면서 “인도와 인도 양국의 공생관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고 21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장기 디플레이션에 빠져 있던 일본 경제를 구하기 위한 경제정책 이른바 ‘아베노믹스’에 착수했다. 통화 완화정책을 비롯해 공격적인 경기부양정책을 펼치는 것은 물론 장기적인 구조개혁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5월에 총리직에 오른 모디도 고성장을 거듭하다 반 토막이 난 경제성장률을 다시 끌어올리기 위한 경제정책 ‘모디노믹스’를 마련해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비해 다소 모호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나 그간 교착상태에 있던 인프라 프로젝트를 과감히 재개하고 외국인 투자 장려하는 정책을 펴는 등 경제성장 회복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계획하고 있다.
경제 개발 수준으로 따졌을 때 인도와 일본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도는 세계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2억 인구 규모를 자랑하지만 대다수가 하루 평균 1.25달러 미만의 돈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도시에 사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30%를 밑돌며 1인당 국내총생산량(GDP)은 구매력평가(PPP)기준 4000달러(약 410만원)에 그친다.
반면 일본은 1인당 GDP가 3만7000달러에 달하며 도시에 사는 인구는 전체 인구의 90%에 달한다.
노무라는 “일본은 부유한 순채권국으로서 인도 경제에 필요한 인프라 부분에 중요한 투자자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무라는 또 “아웃소싱을 통해 글로벌 생산 공급망에서 인도의 역할을 확대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실제로 일본은 지난 수십 년간 다른 많은 아시아 국가에 그러한 역할을 해왔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일본 제조업체의 해외 생산 비중은 지난 2012년 20% 이상으로 커졌고 2018년까지 25%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상당수 일본 기업들이 중국으로 사업확장을 했으나 최근 인건비 상승 등으로 다른 나라로 초점을 변경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노무라는 일본은 인프라 시스템을 수출하고 인도는 이를 수용해 제조업에서 중국에 이어 제조업 분야 강자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에 대한 투자가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인도는 ‘투자하기 좋은 나라’ 조사에서 189개국 중 134위를 기록해 하위권을 차지했다. 실제로 앞서 포스코를 비롯해 월마트와 까르푸 등이 백기를 들고 철수한 바 있다.
그러나 IHS글로벌인사이트의 라지브 비스워스는 “이전 정부는 그간 우유부단 한 모습을 보여왔다”면서 “인도 총선 이후 많은 것이 변했으며 모디의 새 정부는 개발에 있어 더 역동적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낙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