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공공부문 부담액 혜택보다 1억원 더 많아

입력 2014-07-28 14: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 많아더 많아50대 후반부터 부담 < 혜택

현 20∼30대는 평생 자신이 공공 부문에서 받는 혜택보다 1인당 평균 1억원이상을 초과 부담(순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부담보다 혜택이 더 큰 ‘초과혜택(순혜택)’은 50대 후반 연령대부터로 조사됐다.

28일 김명철 한국은행 통화정책국 정책분석팀 차장과 김영각 일본 센슈대 교수 등 3명이 함께 작성한 ‘인구구조 변화가 재정 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세대 회계’ 기법으로 추정한 연령대별 순부담액은 큰 차이를 보였다.

세대 회계는 연령층별로 세금 등 순부담액을 현재의 화폐가치로 추정하는 통계 기법이다. 이번 추정에서는 2011년 현재 가격으로 각종 공공 연금·보험, 세금, 정부와 공기업의 지출까지 포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현재 만 20∼25세미만 연령층의 순부담액은 1인당 1억1000만원, 25∼30세 미만은 1억700만원, 30∼35세미만은 1억1200만원, 35∼40세미만은 1억600만원이다.

이어 40∼45세미만은 9700만원, 45∼50세미만은 7200만원, 50∼55세미만은 3600만원 등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순부담액이 줄었다.

50대 후반부터는 순부담액이 마이너스(순혜택)로 돌아섰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기초노령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실업보험 등을 통해 받는 혜택이 공공부문 지출을 위해 자신들이 부담하는 세금이나 보험료 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55∼60세미만의 순혜택은 1인당 300만원 수준이었으나 60∼65세미만 4400만원, 65∼70세미만 4100만원 등 60대는 4000만원대로 커졌다.

순혜택은 70∼75세미만 3400만원, 75∼80세미만 2600만원, 80∼85세미만 2000만원, 85∼90세미만 1400만원, 90세이상 1000만원 등 60대를 정점으로 둔화됐다.

특히 2012년이후 태어난 미래세대의 1인당 순부담액은 평균 3억9600만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돼 눈에 띄었다.

김 차장은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일본이 세금이 아닌 빚(국채 발행)으로 재정을 꾸리는 상황에 처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고령화”라며 “현 추세라면 한국도 일본처럼 고령화로 복지지출이 늘면서 재정건전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성장잠재력 확충 등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로야구 치열한 5위 싸움…‘가을야구’ 막차 탈 구단은? [해시태그]
  • 올해 상반기 차주 대신 갚은 대출만 ‘9조’ [빚더미 금융공기업上]
  • "'에이리언' 배우, 4년 전 사망했는데"…죽은 이들이 되살아났다 [이슈크래커]
  • 비혼이 대세라서?…결혼 망설이는 이유 물어보니 [데이터클립]
  • "경기도 이사한 청년에 25만원 드려요"…'청년 이사비·중개보수비 지원’[십분청년백서]
  • 단독 박봉에 업무 과중까지…사표내고 나간 공무원 사상 최다
  •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추가 가산…경증환자 본인부담 인상 [종합]
  • 광주 치과병원 폭발사고…부탄가스 든 상자 폭발에 방화 의심
  • 오늘의 상승종목

  • 08.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099,000
    • +1.55%
    • 이더리움
    • 3,548,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471,300
    • +2.81%
    • 리플
    • 812
    • +1%
    • 솔라나
    • 193,600
    • +1.52%
    • 에이다
    • 504
    • +5%
    • 이오스
    • 705
    • +2.32%
    • 트론
    • 212
    • -3.64%
    • 스텔라루멘
    • 135
    • +3.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950
    • +2.74%
    • 체인링크
    • 15,400
    • +10.55%
    • 샌드박스
    • 374
    • +5.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