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올 뉴 쏘렌토’, 품질 검증위해 지구 24바퀴 돌았다

입력 2014-08-19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글로벌품질센터 본격 검증 거쳐 탄생한 첫 SUV, 전세계 110만km 달려 완성

▲기아차 올 뉴 쏘렌토 전측면 모습(사진제공=기아차)

기아자동차가 품질성을 대폭 강화한 ‘올 뉴 쏘렌토’를 선보이고 본격적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장 공략에 나섰다.

기아차는 19일 기아차 화성공장에서 미디어 설명회를 열고 ‘글로벌품질센터’의 본격 검증을 거친 첫 SUV 신형 쏘렌토를 선보였다. 올 뉴 쏘렌토는 양산품질 극대화를 위한 전문 평가 시설인 글로벌품질센터의 본격 검증을 거친 첫 SUV다. 기아차는 230여억원을 투자해 화성공장 내에 글로벌품질센터를 올해 1월 완공했다.

신형 쏘렌토는 글로벌품질센터를 비롯해 국내, 북미, 유럽, 중동, 중국 등 전세계 곳곳을 돌며 내구 성능을 평가했다. 복합적인 기후 조건이 특징인 북미에서는 계절별 성능평가를, 눈길ㆍ벨지안로(화강암 벽돌로 된 유럽형 도로)ㆍ아우토반 등 다양한 도로 특성을 갖춘 유럽에서는 실도로 평가를 실시했다. 또 남미의 고지대 지역, 중동의 사막 지역, 중국의 고원 및 험로 지역 등을 돌며 내구성을 면밀히 검증했다.

올 뉴 쏘렌토가 선행 양산 차량 평가를 위해서 달린 도로만 지구 약 24바퀴에 해당하는 전세계 110만km에 이른다.

올 뉴 쏘렌토는 일반 강판보다 가볍지만 강도는 2배 이상 높은 초고장력 강판(AHSS)의 적용 비율을 기존 24%에서 53%로 확대했으며, 차체 구조 간 결합력을 강화시켜주는 구조용 접착제의 적용 범위도 크게 늘려 차체 강성을 10% 이상 높였다.

▲기아차 올 뉴 쏘렌토 후측면 모습(사진제공=기아차)

이와 함께 핫 스탬핑 공법으로 생산된 부품의 적용 수를 늘려 차량 충돌시의 안전성도 향상시켰다. 이 공법은 9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한 소재를 프레스 성형과 동시에 급속 냉각시켜 성형 전에 비해 강도가 3배 이상 높은 초고장력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올 뉴 쏘렌토는 전장 4780m, 전폭 1890mm, 전고 1685mm로, 전고는 15mm 낮아졌지만 전장이 기존 쏘렌토보다 95mm 늘어나 안정감을 확보했다. 축거는 기존보다 80mm가 늘어난 2780mm를 확보했다.

인치왕 기아차 총괄PM담당 부사장은 “올 뉴 쏘렌토는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 주행 감성, 품질을 갖춘 글로벌 명차를 목표로, 연구 개발 및 양산 단계를 거쳐 고객들에게 인도될 때까지 기아차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완성시킨 차량”이라고 밝혔다.

▲기아차 올 뉴 쏘렌토 내부 모습(사진제공=기아차)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0: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193,000
    • +1.04%
    • 이더리움
    • 4,871,000
    • +1.95%
    • 비트코인 캐시
    • 550,500
    • +3.77%
    • 리플
    • 670
    • +1.06%
    • 솔라나
    • 210,500
    • +9.18%
    • 에이다
    • 554
    • +2.03%
    • 이오스
    • 828
    • +2.48%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00
    • +1.82%
    • 체인링크
    • 20,250
    • +3.69%
    • 샌드박스
    • 478
    • +1.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