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에 한 번씩 만나 등산을 하는 동창 모임에서 가장 빠릿빠릿하고 가장 산을 잘 타던 친구가 있었다. 그런데 환갑을 앞두고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다. 이 친구는 와송이 암에 좋다, 마가목이 당뇨에 좋다, 개똥쑥이 간에 좋다 등 건강기능식품 예찬론자로 파킨슨병 진단 후 이런저런 건강기능식품을 지나치게 남용하다 간이 나빠져 사망하고 말았다.
당뇨 가족력이
중국몽은 한국의 위기일까"…'국가핵심이익 : 한중간 중국몽 갈등의 본질'
중국몽(中國夢)은 문자 그대로 중국의 꿈을 뜻한다. 장기 집권 중인 시진핑 주석이 2012년 공산당 총서기에 선출됐을 때,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어다. 중국몽에는 국가 부강, 민족 진흥, 인민 행복 등 세 가지 목표가 담겼다. 그렇다면 시진핑의 중국몽
전쟁의 참혹함ㆍ정치의 비정함 동시에 녹인 작품김한민 "전장의 중심에 있는 이순신 보여주고 싶었다"도요토미에서 시작, 광해군으로 끝나는 영화의 의미는?
12일 언론 시사회를 통해 공개된 ‘노량: 죽음의 바다’는 ‘전쟁’과 ‘정치’에 관한 영화다. 전자가 타국의 권력을 획득하는 일이라면, 후자는 자국의 권력을 획득하는 일이다. 김한민 감독은 전쟁과 정치를
☆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명언
“스승의 말은 곧 스승이다.”
조선 중기 문관. 탁월한 경륜으로 매우 위태롭고 어려운 지경에 있는 나라를 구하는 일에 몸을 바친 인물이다. 당쟁이 심하던 선조 시대에 어느 파당에도 가담하지 않고 오로지 나라를 위하는 방향으로 매사를 처리했다. 광해군 때 인목대비 폐모에 반대하다 함경도 북청으로 귀양 간 그는 귀양
☆ 에드워드 기번 명언
“바람과 거친 파도는 항상 유능한 항해자의 편에 선다.”
영국의 역사가. 그는 1300년의 로마역사를 다룬 ‘로마제국쇠망사’를 썼다. 로마사 중 가장 조직적이고 계몽적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평생을 독신으로 지낸 그는 유럽 대륙여행 중에 로마 카피톨리움의 폐허를 보고 집필을 구상해 12년간에 걸쳐 모두 6권의 대작을 완성했다.
2004년 나이지리아 오요(Oyo) 주의 아고아레(Ago Are) 마을에는 정보센터라는 컴퓨터실이 있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농업생산을 높이기 위한 시설로 관련 CD도 소장되어 있고 전화선으로나마 인터넷 연결도 할 수 있던 마을 유일의 시설이었다. 그 컴퓨터를 켤 때 비밀번호는 나에게 반가움의 미소를 띠게 했다. 바로 ‘대우 (Daewoo)’였
서울관광재단, '서울도보해설관광' 가족코스 6곳 소개
올해 설 연휴는 주말이 껴 있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서울에서 가족들과 모임 후 멀리 여행 가기 부담스러운 분들에게 서울도보여행을 추천합니다. 서울의 숨겨진 이야기를 배울 수 있고 전통놀이도 즐길 수 있는데요. 특히 가족코스는 어른 중심의 어려운 이야기에서 벗어나 어린이도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가질
☆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 명언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는 백성을 사랑하는 것보다 더한 것은 없다. 몸을 닦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한 것이 없다.”
네 임금(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을 모시며 영의정을 지냈으나 초가집 한 칸뿐이었을 정도로 청렴한 조선 중기 문신. 류성룡(柳成龍)마저 이순신(李舜臣)을 버릴 때 홀로 그를 엄호했고, 광
흔히 한국은 ‘외교’가 중요한 나라로 인식된다. 거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우선 지정학적으로 한국이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등 강대국들에 포위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이들 강대국 사이에서 무사히 생존하기 위해 늘 외교에 골몰했다. 한국사를 ‘외교의 역사’로 정리해도 큰 무리는 없다. 국사책으로 접했던 ‘서희의 외교담판’, ‘광해군의 중립
모든 연령대에 ‘가장 불운한 세대는 어느 세대일까’라고 물으면 이구동성으로 “우리 세대”라고 한다.
할머니·할아버지로 불리는 70~80대는 육이오 동란에서 구사일생해 폐허 속에서 한국을 재건하느라 고생했고, 60대는 그런 부모의 고생을 목도하면서 자녀와 부모를 부양하느라 허리가 휘었는데, 이젠 자신의 노후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40~50대도 할 말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지금 해야 할 일은 낮은 자세로 주권자를 두려워하며, 국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작든 크든 '실용적 민생개혁 실천'에 끊임없이 매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지사의 SNS 메시지는 지난 8일 이후 12일 만이다.
이 지사는 이날 '정치는 실용적 민생개혁의 실천이어야 한다'는 제목으로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말했다
☆ 헨리 제임스 명언
“미인은 얼굴에 결점이 없는 사람이나, 아름다운 사람은 얼굴에 결점이 있어도 매력이 유지되는 사람이다.”
미국 소설가. 영어로 쓴 가장 뛰어난 소설 중의 하나로 평가받은 ‘어떤 부인의 초상’이 대표작. 자신의 작품 해설을 모은 ‘소설의 기교’는 소설 이론의 명저다. 심리학자·철학자인 윌리엄 제임스의 동생이다. 그는 오늘 출생했다.
☆ 광해군(光海君) 명언
“그런데도 백성을 보살펴 주지 않는다면 백성의 부모 된 도리가 아니다.”
조선 제15대 왕. 이름은 이혼(李琿). 선조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 金氏). 대동법 시행을 주장하며 한 말. 임진왜란으로 피란지 평양에서 세자에 책봉된 그는 분조(分朝)를 맡아 7개월 동안 강원·함경도 등지에서 의병 모집 등의 활동
2월 16일 채널CGV, OCN, 수퍼액션, 씨네프, 스크린에서 방송되는 영화를 소개한다.
채널CGV에서는 16일 0시 '럭키', 오전 4시 '미션임파서블5: 로그네이션', 오전 7시 '그것', 오전 9시 '광해, 왕이 된 남자', 낮 12시 '램페이지', 오후 2시 '헌츠맨: 윈터스 워', 오후 5시 '신과함께-인과 연', 오후 8시 '쿵푸허슬'
드라마 ‘녹두전’에 등장한 인조반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조반정이란 1623년(광해군 15년‧음력 3월 12일) 서인 세력이 정변을 일으켜 광해군을 왕위에서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이다. 이는 조선 3대 반정 중 하나이기도 하다.
‘반정’이란 성리학 기준으로 옳은 정치로 돌이킴을 뜻한다. 임진왜란 이후 출범
영창대군이 KBS 드라마 ‘녹두전’에 등장했다.
영창대군은 7일 방송된 드라마 ‘녹두전’에 모습을 드러내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영창대군은 조선 선조의 13번째 왕자로 태어났지만 인목왕후의 소생인 그는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서인으로 강등됐다고 역사에 기록돼 있다. 영창대군은 특히 만 8세의 나이에 강화부사 정항의 손에 죽음을 당하
'조선왕 이현'에서 '왕이 된 남자'까지
배우 여진구를 잇는 TVN '조선왕'이 탄생했다. 이번인 이헌이 아닌 '이현'이었다.
지난 28일 방송된 TVN '호텔 델루나'에서는 배우 이이경이 극 중 조선왕 이현 역을 연기하는 배우로 분해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특히 해당 왕의 이름이 주연배우 여진구의 이전 출연작품 배역 명과 유사해 시청자들의 큰
3월에 맞는 '서울의 봄'은 숭고하다. 서울은 항일 민족운동의 중심지였다. 서울 역사박물관과 정동길에 선현의 자취가 내려앉고, 서대문독립공원 담장에 온기가 쌓인다. 근대사의 발자취를 좇아보자. 단재 신채호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말했다.
한국관광공사는 3월 가볼 만한 곳의 테마를 '3.1 운동 100주년'으로 정했다. 3·1운동과 대
“하나만 물어봅시다. 대동법이라는 것이 참 좋은 법 같소. 그런데 왜 이 좋은 것을 1년도 시행하지 않고 폐지했단 말이오? 이유가 무엇이오?”
"...그건 아무것도 아니고, 그냥 정치이옵니다."
권력 다툼과 붕당정치로 혼란이 극에 달한 광해군 8년. 왕 광해(이병헌 분)는 자신의 방패막이로 내세울 대역을 찾다가 본인과 외모가 비슷한 천민 하선
겨울에는 온천이 최고다.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면 세상이 그럭저럭 살만하게 느껴진다.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고양이가 안심하고 잠들어 있는 동안에는 별달리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으리란 믿음이 든다"고 했는데, 따뜻한 물에 들어가 눈을 감고 있노라면 세상에 나쁜 일은 생기지 않을 것 같다. 온천은 이처럼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