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한-체코 장관급 공급망‧에너지 대화' 개최한-체코 반도체 협력 MOU 체결
우리나라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24조 원 규모의 체코 신규 원전 건설사업이 내달 최종 계약을 앞둔 가운데 양국 정부의 실물경제 수장이 서울에서 만나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안덕근 장관은 서울에서 루카쉬 블첵 (Lukáš Vlč
관세 완화, 무기ㆍ에너지 수입 확대 약속‘폭탄 관세’ 위협 속 긴장 완화 목적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관세 완화, 미국산 무기ㆍ에너지 대규모 수입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폭탄 관세’ 위협을 하는 가운데 무역 긴장 완화를 위해 선물 보따리를 안겼다는 분석이다. 또 양국 수장은
우리나라의 3대 교역국인 베트남과 2030년까지 교역 15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찾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김종철 통상협력국장과 베트남 산업무역부 도꿕흥(DO QUOC HUNG) 아시아아프리카시장국장이 양국의 수석대표로 참석한 가운데 화상으로 제3차 '코리아-베트남 플러스 공동작업반' 회의를 열었다.
'코리아-베트남
대한상의, 19일 ‘한-네팔 비즈니스 포럼’ 개최양국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서명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양국 통상협력 강화 기대
한-네팔 양국 수교 50주년을 맞아 양국 정부와 주요 기업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통상·투자협력과 기업 간 파트너십 강화를 약속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9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네팔 대사관과 공동으로 ‘한-네팔 비즈
“8년 전 보복관세, 미국이 실감하게 했던 반격”“트럼프 2기 행정부와의 협상이 더 어려울 수는 있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이행한다면 관세로 맞대응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뤼도 총리는 이날 캐나다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속 한국 기업의 중남미 진출 전략을 찾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서울 웨스틴 조선에서 한-중남미협회 및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국무역협회, 해외건설협회와 함께 '제28차 한-중남미 비즈니스 포럼'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주한 중남미 17개국 외교 사절단을 비롯해 중남미 관련 정부·기관·기업 인사들이 참석했다.
정부가 미국 신 행정부 출범에 따른 베트남 통상정책 변화에 대비해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경영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베트남 진출기업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미국 신 행정부의 대(對)베트남 통상정책 변화에 대비해 우리 진출기업에 미칠 영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비해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과 만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서울 롯데호텔에서 '멕시코 진출기업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기아차, HL만도, LG이노텍, LS이모빌리티, 현대모비스, 포스코 등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멕시코는 최근 미국 주도의
구리와 아연의 세계 생산량 2위이자 전통 광물 주요 생산국인 페루와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이 강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에서 양국 정상이 임석한 가운데 페루 에너지 광업부와 '한-페루 핵심광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은 윤석열 대통령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미국이 한국을 다시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 지정했다. 지난해 11월 환율 관찰 대상국에서 제외됐었으나 1년 만에 다시 재지정된 것이다.
1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가 14일(현지시간) '주요 교역상대국의 거시경제・환율정책 보고서'를 발표,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싱가포르, 대만, 베트남, 독일 등 7개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2015년 발의된 무역교역 촉진법 근거한국 7년 만인 작년 11월 대상국 제외1년 만에 ‘관찰대상국’으로 재지정해대미 무역수지 흑자폭이 증가했다는 것반면 미국의 무역 제재 리스크 늘어나
미국이 1년 만에 한국을 환율관찰 대상국 명단에 다시 포함했다.
환율관찰 대상국이 됐다는 것은 긍정과 부정적 의미를 모두 지닌다. 우리의 대미 무역수지가 그만큼 흑자
KDI, 韓성장률 0.3%p↓…주요 IB 이어 한은도 하향 유력내년 성장률 2% 턱걸이 전망…원달러환율 1400원대 돌파조기 관세전쟁시 1%대 저성장 가능성…리스크 관리 주력
내년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국내외 기관의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고금리 여파 등에 따른 내수 부진,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무역수지 악화 우려
한국-폴란드 수교 35주년…금융감독청장 첫 한국 방문
금융당국이 폴란드 금융감독청(KNF)과 은행감독 양해각서(MOU)을 체결하고 유럽 역내 시장에 K-금융 수출을 본격화한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위·금융감독원·KNF간 은행감독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체결은 올해 3월 폴란드에서 진행된 첫 회담에서 논의된 내용의 후
우리나라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이 10일(현지시간) '포괄적전략동반자관계'(CSP·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를 수립했다. 대북 문제 등에서 더 긴밀히 연대하고, 경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한국과 슬로바키아가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Trade and Investment Promotion Framework)를 맺고, 통상·산업·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데니사 사코바(Denisa Saková) 슬로바키아 부총리 겸 경제부 장관과 30일 서울에서 한-슬로바키아 정상회담 계기 윤석열 대통령과 로베르트 피초
대한상의, ‘한-리투아니아 비즈니스 다이얼로그’ 개최바이오·에너지·ICT 등 첨단산업 경제협력 한뜻
한국과 리투아니아를 대표하는 기업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바이오와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산업 분야의 경제협력에 뜻을 모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리투아니아상공회의소협회와 공동으로 23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한-리투아니아 비즈
崔부총리, 대통령 순방 계기 체코 재무장관과 양자면담원전 등 경제금융협력·국장급 경제대화 신설 및 정례화 약속
윤석열 대통령의 체코 순방을 계기로 만난 한국과 체코 경제수장이 원전 관련 금융협력을 강화하고 양국 간 국장급 경제대화를 신설하기로 했다. 양국 경제대화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 열릴 전망이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현지시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우리나라의 핵무장과 관련해 "자체 핵무장 없이도 북핵 위협을 실질적으로 억제, 대응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됐다"고 강조했다.
체코를 공식방문 중인 윤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체코 경제지 '호스포다즈스케 노비니'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핵무장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냐'는 질문에 "현재 한미는 핵 전략기획은 물론 핵‧재래식 통합(CN
체코를 공식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원전 동맹을 중심으로 체코와의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 윤 대통령과 페트르 파벨 대통령은 내년 수교 35주년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을 맞아 정치와 경제, 문화, 과학기술 및 외교안보, 국방, 방산과 같은 제반 분야 협력을 전면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체코 프라하에서 페트르 파벨 대통령과
美주도 국제질서에 도전하는 中우방국·시장·자원 확보에 ‘사활’
9월 15일은 서아프리카의 중심국가인 니제르에 주둔한 미군 1000여 명이 철수하기로 한 데드라인이었다. 미국이 니제르와 러시아의 밀착을 반대하자 니제르 시민들의 미군철수 요구 시위가 빈번해졌고, 결국 미국은 니제르 군사정권과 9월 15일까지 미군을 철수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2020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