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납품단가 지원 및 할인 지원 확대 등에 힘입어 사과 등 대다수 농축수산물 품목의 가격이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농산물 물가가 안정될 때까지 가격안정자금 지원을 계속하고, 작년처럼 사과 작황 부진에 따른 가격 급등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5일
올해 기금평가단 평가대상에 오른 정부 기금의 절반 이상은 재원구조가 ‘부적정’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2일 기획재정부의 ‘2021년 기금존치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평가대상 22개 기금 중 14개가 부채 과다, 중기(3년) 가용자산의 적정수준 미달·초과 등을 이유로 재원구조가 부적정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국가재정법에 따라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기금평
한국마사회의 특별적립금을 '어업·어촌'에도 지원하는 방안이 재추진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점식 미래통합당 의원은 이달 17일 마사회 특별적립금의 이해증진 및 소비촉진사업에 어업‧어촌을 추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한국마사회법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마사회는 마사회법 제42조에 따라 매 사업연도 결산 결과 이익이 생긴 경우 이
자유한국당을 반발 속에 '4+1'(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협의체에서 마련한 내년도 예산안 수정안이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된 가운데 예산안 세부 내용이 주목된다.
여야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본회의를 열어 512조 3000억 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 수정안을 재석 의원 162인 중 찬성 156표, 반대 3표, 기권 3표로
지난해 국민연금 수익률이 주식비중 확대 등 요인으로 전년보다 상승했다. 이 기간 사회보험성과 사업성 기금의 수익성은 올랐지만, 투자가능 자산에 제약이 있는 금융성 기금의 수익률은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기금평가단의 2017회계연도 기금 자산운용평가(46개)와 2018년 기금 존치평가(34개) 결과를 21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무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수급 예측 실패로 창고에 비축해둔 6979톤의 국내농산물 방출시기를 놓쳐 폐기시켰다는 지적이 나왔다.
2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홍문표 의원이 aT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aT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수급 및 가격안정 목적으로 1만3409톤의 농산물을 사들여 창고에 비축했으나, 수매물량의 절반
정부가 올 하반기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 8조5000억원 규모의 ‘사실상 추경’을 편성한다. 정부가 운영하는 기금과 공공투자액을 각각 2조3000억원, 1조7000억원 확대하고 재정집행률도 끌어올려 시중에 4조5000억원의 돈이 더 풀리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소·중견기업 투자지원을 위한 3조원 규모의 설비투자펀드도 조성한다.
기획재정부
농수산물유통공사(aT)는 농수산식품·외식 사업자와 수출사업자를 대상으로 2012년 융자 규모 8976억원 가운데 농산물 가격안정기금 5422억원을 우선 지원한다고 4일 밝혔다.
지원용도는 원료 구입 등 운영자금과 식품·수출기업의 공장 신축, 개보수 등 시설자금이다. 대출금리는 연 4% 이내며 대출기간은 운영자금 1년, 시설자금 10년 이내다.
aT 홈페
지난해 사립학교교직원연금기금이 기금 자산운용 성적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광진흥개발기금은 가장 낮은 성적을 거뒀다.
사업운영부문에서는 72%가 ‘보통’ 이상, 28%가 ‘미흡’ 이하로 평가받았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자산운용부문의 37개 기금과 사업운영부문의 29개 기금(93개사업)에 대한 2010년도 기금운용평가를 확정, 이
신문발전기금(23.82점), 문화예술진흥기금(38.71점), 군인연금기금(43.31점) 등이 기금운영 평가결과 하위 점수를 받았다.
기획재정부는 25일 기금운영 평가결과를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자산운용부문의 평가 결과 기금별로는 신문발전기금이 23.82점로 최하위였으며 농어가목돈마련저축장려기금(25.30), 순국선열애국지사사업기금(31.86
올 9월말 현재 주요 재정사업 집행실적은 155조5000억원으로 계획(164조6000억원)대비 94.5%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31일 배국환 기획재정부 제 2차관 주재로 재정관리점검단회의를 개최해 서민생활안정과 일자리 지원사업을 포함해 9월말 재정집행상황, 공기업 투자확대분 집행실적 등을 점검하고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대책 집행계획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