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1단지가 26일 재건축 정밀안전진단을 조건부로 통과했다.
양천구청에 따르면 목동 1단지는 안전진단 결과 52.43점(D등급)으로 조건부 재건축 판정을 받았다. 재건축 안전진단은 점수(100점 만점)에 따라 E등급(31점 미만)은 안전진단 통과, D등급(31∼55점)은 공공기관의 적정성 검토를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목
“12ㆍ16 부동산 대책 이후 강남권 아파트 매매시장이 얼어붙었지만 목동은 재건축 기대감에 매입 문의가 늘고 있어요. 워낙 매물이 귀한 탓에 거래가 활기를 띠고 있지는 않지만 매물이 나오기가 무섭게 팔리며 호가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울 목동 T공인 관계자)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주택시장이 재건축 사업 기대감에 들썩이고 있
“2년 전 집을 안 샀던 사람들이 땅을 치고 후회하지. 젊은 사람들이 쩔쩔매는 걸 보면 안타까워 죽겠다.”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1단지 아파트 앞 H공인중개사 대표는 목동 전세시장에 관해 묻자 목소리를 높였다. 그의 말대로 요새 목동 1단지 전세 매물은 부르는 게 값이다. 5월까지만 해도 7억 원이면 구할 수 있던 전용면적 98㎡형 전세 매물이 이제
목동 온수관 파열 사고로 서울 관내 온수관 상태에 적신호가 켜진 모양새다. 일산, 부산에 이어 서울 목동까지 이번 달에만 세 차례의 온수관 파열 사고가 일어났다.
지난 11일 오전 8시 50분 경 서울 양천구 목동 1단지 아파트 단지에서 온수관 파열 사고가 발생했다. 에너지공사는 오후 6시쯤 1차 복구를 마쳤지만 인근에서 추가 파열이 발견되면서 1
KEB하나은행이 옛 외환은행과의 전산시스템(IT) 통합 이후 대규모 인력 재배치를 통해 화학적 결합을 완료했다.
하나은행은 8일 본부 부서장, 영업지점장, 기업금융전담역(RM) 등 193명의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 하나은행의 전국 영업점이 919곳(6월 말 기준)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인사로 약 20%의 지점에서 대이동이 일어나는 셈이다.
하나은행의 이
재건축 연한 단축 시행을 앞두고 서울 목동 등 노후 아파트들이 재건축 물망에 오르고 있지만 정작 주민들의 반응은 냉랭하다. 전세 등 세입자 비율이 높고 리모델링을 한 가구들이 많아 주민들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재건축 연한이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되면서 재건축 대상에 오른 1980년대 후반에 건설된 양천
최근 주택시장 훈풍에도 움직일 기미가 보이지 않던 서울 양천구 목동 부동산 시장이 꿈틀거리고 있다. 이는 지난해 9·1부동산 대책과 더불어 목동 재건축을 기대하는 외부 수요가 더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3일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현재 목동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3㎡당 2055만원이다. 지난해 말 2000만원을 넘긴 이후 지난달 2046만원을
서울 목동 아파트에 대한 실수요자 및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목동은 강남에 버금가는 학군지역으로 어린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선호도가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고점 대비 가격이 크게 내려간 데다 재건축 연한이 안된 아파트도 재건축 가능해지면서 관심수요가 부쩍 늘었다.
현지 중개업자들은 이 지역 아파트 가격이 고점 대비 많이 빠진
서울 양천·노원·강남·마포 등 4개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은 연간 난방비를 46만원에서 최대 85만원까지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4개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들에게 난방비, 아파트 관리비 등을 200억원의 기금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양천, 노원, 강남자원회수시설 주변 300m이내 주민은 자원회수시설 주변 간접영향지역으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