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이 안전성평가제도 적용 확대·반도체 업종 맞춤형 고시 등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 관련 고시·지침에 대한 개정안 8건을 17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개정고시는 업종 특성·취급여건 등을 반영해 현장 안전과 규제 이행력을 높이기 위해 현장조사·전문가 검토 및 이해관계자 협의를 거쳤다. 주요 개정 내용은
정부가 노후화된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을 개선하는 업체에 최대 4200만 원을 지원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방류벽 등 노후화된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 개선을 희망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이달 22일부터 2월 26일까지 ‘화학안전 사업장 조성 지원사업’ 신청을 받는다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경영 여건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노후화된 유해화학물질 취급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이 올해 시설 개선 비용 3200만 원을 받는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11일 '2023년 화학안전 사업장 조성 지원사업' 공고를 내고 관련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처음으로 추진한 이번 지원사업은 노후화된 중소기업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개선 비용의 일부를 지원해 화학사고를 사전에 막기
LG화학은 21일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에서 '제1회 LG화학-한국화학공학회 석유화학 올림피아드' 시상식을 열었다고 22일 밝혔다.
7월부터 진행한 올림피아드에는 총 647팀, 1692명의 화학공학 전공 대학생들이 참가해 △공정 안전 △생산성 향상 △환경/에너지 분야에서 화학산업이 마주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LG화학 글로벌
장치산업계가 화학물질 저장시설 설치기준 완화, 제철소 가스배출설비 적용 유연화 등의 규제 완화를 정부에 요청했다.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업계는 납사 세율조정, 부산물의 재활용환경 조성 등의 정책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민관합동 규제개선추진단은 공동으로 26일 ‘주력업종 규제개선 간담회 2차회의’를 개최해 장치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사업장 규모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을 차등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이달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적용 대상 중소제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화학물질관리법 시행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 10곳 중 9곳(91.4
사양 위기에 빠진 섬유·패션산업이 ICT 기술을 발판으로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
정부는 26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고 '섬유·패션산업 활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대책은 정부가 19일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에서 제시한 주력산업 혁신 정책의 일환이다.
1970~1980년대까지만 해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사고 위험은 낮추고 현장 적용성을 높이는 안전관리 방안이 나왔다.
환경부는 29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상 기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추가 안전관리 방안을 공개했다.
2015년 1월 1일 화관법의 전면 개정‧시행으로 2014년 12월 31일 이전부터 운영하던 기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은 올해 말까지인 5년
경북 칠곡 에프원케미칼 저장탱크에서 황산 5000ℓ가 누출됐다.
경북도 등에 따르면 7일 오후 6시께 경북 칠곡군 약목면 교리 에프원케미칼에서 직원들이 용량 12만ℓ인 저장탱크에 폐산(폐질산과 폐황산) 2만300ℓ를 주입한 직후 황산 5000ℓ가 누출됐다.
저장탱크 하부가 파손돼 탱크 방류벽 안에 폐산 5000ℓ가 누출됐고 노란색 폐산 증기가
유해화학물질 저장시설의 높이 기준이 완화된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도 반드시 불연재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규제가 개선된다.
정부는 3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제3차 규제개혁 현장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환경부가 수용한 규제 개선안을 살펴보면 화학물질관리법상 유해화학물질 실내저장시설 높이 기준이 현행 6m로 규정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