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1432억 달러…918억 달러 흑자AI 수요 증가로 반도체가 수출 견인12월, 전년 동월 대비 ICT 수출액 14개월 연속 증가
지난해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2350억 달러로 2년만에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수입은 1432억 달러 무역수지는 918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2024년 연간 및 12월 IC
KB증권은 하이트진로에 대해 소주 수출 확대가 국내 주류시장 둔화를 방어하고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주가 2만7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하며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류은애 KB증권 연구원은 “하이트진로의 소주 해외 매출액이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13.0% 성장하며 하이트진로의 소주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연평균 1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17~20일 K-푸드의 베트남 수출 확대와 현지 소비문화 조성을 위한 ‘2024 호치민 K-푸드 페어’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페어는 17일과 18일 수출업체와 바이어가 참여하는 B2B 수출상담회를 시작으로, 19일과 20일 시민들이 참여하는 B2C 소비자 체험 홍보 행사로 진행됐다.
먼저 B2B 수출
LG디스플레이 사내벤처로 시작해 스핀오프유아동 대형 스마트러닝 기기 ’톡톡박스‘, 베트남 교육 박람회에 출품
에듀테크 스타트업 엘포박스는 최근 하노이에서 열린 베트남 국제 교육 박람회에서 ’비엣에듀 어워즈(VIETEDU Awards) 베스트 신인상‘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베트남 국제교육 박람회는 하노이에서 베트남의 유아동기관 및 교육 기관등이
9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2022년 3월 이후 역대 두 번째 규모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도체는 전년 동월 대비 36.3% 증가하며 역대 최대 수출액을 달성하며 ICT 수출을 이끌었다.
특히, 메모리는 AI 서버 투자확대로 인한 HBM 등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유진투자증권은 14일 에이치이엠파마에 대해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헬스케어 기업’이라며 ‘‘맞춤형 헬스케어 사업의 본격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이치이엠파마는 장내미생물 시뮬레이션 기술인 PMAS(Personalized Pharmaceutical Metal-Analytical Screening)를 활용해 맞
배관자재 전문 제조기업 TKG애강이 산업용 배관제품을 앞세워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TKG애강은 최근 베트남에 산업용 CPVC(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배관 초도품을 납품했다고 11일 밝혔다. 회사는 배관자재 전문 기업으로서 오랜 기간 쌓은 기술력과 노하우를 토대로, 기존 특강점을 가졌던 주거용 배관 제품에서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베트남 기업 옵메이(Ofmeight)와 40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번 수출 계약을 통해 생산, 공급되는 제품들은 코리이태리 AAT연구소가 개발한 유럽특허 신터액트 테크놀로지(SynterAct Technology) 기반의 오브맘 브랜드 메이트(Mate)시리즈 제품과 2030여성 헬스
동성제약이 18일(현지시간)부터 20일까지 베트남 하노이 I.C.E(International Centre of Exhibition)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베트남 하노이 뷰티케어 엑스포 2024(Vietnam Hanoi BeautyCare Expo 2024)’에 참가한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베트남 뷰티 시장에 국내 브랜드사들의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수
동성제약은 신제품 동성청심환골드와 건강음료 3종(원기력파워, 헛개해취굿모닝, 산삼배양근)의 베트남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신제품 동성 청심환골드는 침향, 아연, 영지버섯, 6년근 흑삼 등 20여 가지 천연물을 배합한 환제품으로 뇌질환 예방, 기력 회복,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다. 본 계약은 약 50억 원 상당으로 글로벌 건강기능
동성제약이 글로벌 사업 핵심 전략 국가로 꼽은 베트남 시장에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2021년 대비 2023년 수출 규모가 13배 이상 성장하며 글로벌 사업 확대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동성제약은 최근 몇 년간 탄탄한 인구구조로 돼 있으면서도 경제성장률이 높은 베트남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며 글로벌 사업을 강화했다. 이
락앤락이 한국과 중국 시장의 실적 악화 속에 베트남과 유럽에서 성장세를 키우고 있다. 효자 노릇을 한 제품은 텀블러 등 베버리지웨어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락앤락은 올해 3분기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337억 원, 28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 26% 줄어든 규모다. 중국의 경우 경기가 더디게 회복하면서 주요 온라인
반도체 15개월·對中 17개월 만엔 마이너스 끊어내나 관심조익노 무역국장 “반도체·중국 개선되는 모습…현 상태 이어지면 2개월 연속 플러스 달성 가능”
반도체가 살아나고 대(對) 중국 수출 감소세가 멈추고 있다. 이로 인해 이달 1~10일 수출이 늘어나며 우리 수출 2개월 연속 증가가 긍정적이다. 15개월 연속인 반도체, 17개월 연속인 대중 수출 의 마
이달 1~10일 수출이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도체가 살아나고 있으며 대(對) 중국 수출 감소세가 멈추고 있는 모습으로 2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위한 출발이 좋다.
관세청은 이 기간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182억 달러, 수입은 1.2% 증가한 20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달 5.1%의 증가로 13개월 만에 플러스 전
의약품 이커머스 플랫폼 기업 블루엠텍이 베트남 병·의원 의약품유통시장에 진출한다.
코스닥 상장을 준비 중인 블루엠텍은 4일 베트남 호치민에서 베트남 약품 이커머스 기업 바이메드(BuyMed)와 만나 베트남 병·의원 의약품유통시장 디지털화를 위해 협력하기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블루엠텍의 병·의원 이커머스
팜젠사이언스는 자체 헬스케어 브랜드 ‘네옴셀(neomcell)’의 베트남 첫 직접 수출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수출되는 제품은 네옴셀 뷰티케어 제품 2만 개 분량으로, 연내 화장품 등 신규 품목을 추가할 예정이다. 팜젠사이언스는 올해 6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 헬스케어 전문유통업체인 메디케어(MEDICARE Pharmaceutical J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베트남 수출에 필요한 전(全)주기 수출 지원 서비스를 제공, 우리 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의 선봉에 섰다.
2일 KTL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과 KTL은 '자유무역협정(FTA) 무역기술장벽(TBT) 종합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베트남 등 주요 수출국의 기술규제·표준 분석, 신규 TBT 발굴과 맞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1일 ““올해 하반기 경제정책의 최우선 과제가 수출 확대인 만큼, 신흥국들과의 무역투자 촉진 프레임워크(TIPF) 구축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고 밝혔다.
안 본부장은 이날 제7차 수출지역 담당관 회의에서 주요 지역별 수출상황을 점검하고 수출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안 본부장은 “우리 수출기업들의 현지 진출애로를
우리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국화 품종이 사용료를 받고 해외 시장에 진출한다. 국산 화의 인지도를 높여 소비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베트남에 국산 백색 대형 국화 종자인 '백강'이 베트남 종자 수출 계약을 맺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백강은 7년간 3억8000만 원의 사용료를 받는다.
주로 장례용으로 사용되는 흰색
팜젠사이언스는 베트남 헬스케어 전문유통업체인 메디케어와 수출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메디케어는 베트남 하노이에 있으며, 베트남 북부를 중심으로 약 6000개의 거래처를 확보한 거대 유통 채널이다.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등을 병원, 약국, 드럭스토어, 에스테틱숍 등에 공급하고, 온라인 유통채널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