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경쟁사가 촉발한 미국 P-CAB 오해 바로잡기
과도한 낙폭 속 오히려 투자 기회 포착
Phathom Pharma가 촉발한 미국 P-CAB 시장 우려 바로잡기
한승연 NH투자
◇롯데이노베이트
내년 주요 자회사 실적 개선폭이 관건
올해 4분기 주요 자회사들의 영업적자 지속될 듯
내년 주요 자회사 영업적자폭 줄어들면서 올해보다 실적 개선 될 듯
지난해 고금리·고환율·고물가 등 어려운 상황을 겪은 약업계가 갑진년 새해를 맞아 선진제약바이오 강국이라는 목표를 향해 도약하겠다고 다짐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대한약사회는 4일 서울 서초구 제약바이오협회 회관에서 공동으로 약계 신년교례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혜숙, 서정숙, 신현영 의원과 함께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차
한올바이오파마가 성장과 내실을 모두 잡으며 작년 매출 1000억 원을 달성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18일 잠정 실적공시를 통해 2021년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15% 성장한 101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01억 원으로 70%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00억 원을 달성했다.
회사 측은 ‘신약 R&D 사업’과 ‘제약 사업’이라는 투트랙
HK이노엔(HK inno.N)이 의약품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을 기술수출하는 쾌거를 거뒀다. 총 계약규모는 6400억 원(5억 4000만 달러) 규모로, 케이캡이 이룬 단일 계약 중 가장 큰 규모다.
HK 이노엔은 미국 소화기의약품 전문 제약기업 세벨라(Sebela US Inc.)의 자회사인 브레인트리 래보라토리스(Brai
한올바이오파마가 주요 제품의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올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성장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27일 잠정 실적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5% 성장한 25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22억 원으로 120%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1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 역시 전년
넥스턴바이오 자회사 로스비보 테라퓨틱스(RosVivo Therapeutics 이하 로스비보)가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Company)와 당뇨병 치료제 개발 및 기술수출을 위한 기밀 유지협약(CDA)을 체결했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27일 밝혔다.
이번 CDA 체결을 통해 로스비보와 일라이 릴리는 miRNA를 활용한 당뇨 치료 신약 RS
'글로벌 유한'을 향한 이정희 유한양행 사장의 도전이 또 한 번 열매를 맺었다. 5000억 원대 신약 기술수출에 성공하면서 회사의 연구·개발(R&D) 저력을 확인시켰다.
유한양행은 미국 프로세사 파마수티컬과 기능성 위장관 질환 치료신약 'YH12852'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총 계약 규모는 최대 4억1050만 달러(약 5000억
유한양행이 5000억 원 규모 위장관 질환 치료신약 기술수출에 성공했다.
유한양행은 미국 프로세사 파머수티컬과 기능성 위장관 질환 치료신약 ‘YH12852’ 물질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총 계약 규모는 최대 4억1050만 달러(약 5000억 원)이며, 유한양행은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 200만 달러(약 24억 원)를 프로세사 주식
지난 한 주간(3~7일) 코스피는 전주 대비 102.3포인트 오른 2351.67에 마감했다. 2240선에서 출발한 코스피는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350선마저 돌파했다. 개인이 2조80억 원을 순매수한 가운데 외인과 기관은 각각 2885억 원, 1조7620억 원을 순매도했다.
지속된 상승장에 상승 폭이 큰 종목은 최대 60% 이상을 기록한 반면
임성기 한미약품그룹 회장이 2일 새벽 숙환으로 타계했다. 향년 80세.
1940년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난 임 회장은 1965년 중앙대 약대를 졸업했다. 이후 1967년 서울 동대문에 자신의 이름을 걸고 연 ‘임성기 약국’을 시작으로 1973년 한미약품을 창업했다.
임 회장은 ‘한국형 연구·개발(R&D) 전략을 통한 제약강국 건설’이란 꿈을 품
퓨쳐켐은 미국의 바이오 기업 A사와 PSMA기반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의약품 신약 FC303의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독점판권을 규정하는 텀시트(주요 계약 조건을 담은 사전 계약서)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양사는 FC303의 본격적인 북미 시장 출시를 목표로 임상 시험부터 신약 허가, 판매까지 협력할 계획이다.
이번 텀시트 계약을 통
셀리버리가 개발 중인 파킨슨병 치료신약 'iCP-Parkin'의 효과를 연구한 논문이 SIC 저널에 실렸다. 회사는 이를 기반으로 파킨슨병 iCP-Parkin의 기술수출 추진을 가속할 방침이다.
조대웅 셀리버리 대표는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상위 1%급 SCI 저널에 iCP-Parkin의 논문이 게재된 것은
퓨쳐켐은 유럽의 바이오기업 이아손(IASON GmbH)과 PSMA기반 전립선 진단 방사성의약품 신약(FC303)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년이며, 퓨쳐켐이 받게 되는 선급금(Upfront fee) 및 마일스톤은 총 122만 유로로 한화 약 16억 원 규모다. 이아손이 터키를 제외한 유럽 전역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
진에어규제와 업황 부진의 이중고 해소가 관건수요 부진에 따른 Yield 하락 기조 속에서 국토부 규제로 인한 외형 성장 제한으로 Top-line 감소세가 지속 중6년여 간의 단거리 노선 중심의 출국 수요 성장이 마무리 되어 가고 있어 동사가 보유한 대형기의 효용이 증가할 수 있는 구간. 2H20 수요 반등 전 규제 해소 여부가 관건Valuation base
JW중외제약이 통풍치료제를 840억 원 규모로 중국에 기술수출한다.
JW중외제약은 중국 심시어 파마슈티컬 그룹의 계열사 난징 심시어 동유안 파마슈티컬과 통풍치료제 ‘URC102’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심시어는 이번 계약을 통해 URC102에 대한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 시장에서의 독점적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획득한
JW중외제약이 중국 제약사에 요산 배출 촉진 작용기전의 통풍치료제 URC102를 기술이전했다. 중국 판권만으로 확정계약금 500만달러를 포함해 총 7000만달러(840억)에 이르는 계약이다.
JW중외제약은 중국 심시어 파마슈티컬 그룹의 계열사인 난징 심시어 동유안 파마슈티컬과 통풍치료제 URC102에 대한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공시했다
한미약품이 1조 원 규모의 기술 개발 권리를 파트너사 얀센으로부터 반환받았다는 소식에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4일 한미약품은 전 거래일 대비 11만3000원(-12.73%) 떨어진 30만1500원에 장을 마쳤다.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도 전일보다 27.70% 급락한 4만8950원에 거래를 마치며 두 회사 모두 신저가로 추락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세계적인 경제 여건의 악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도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국회가 힘을 더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며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 국회 통과를 재차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정부의 추경안이 국회에 제출된 지 한 달이 다가오도록 심의가 이뤄지지
인콘이 바이오 자회사들의 기술 수출(라이선스 아웃) 기대감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6일 오전 10시 8분 현재 인콘은 전일 대비 35원(2.89%) 오른 1245원에 거래 중이다.
인콘은 최근 인수한 바이오 자회사들이 ‘2019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초청받았고 자회사들의 기술력이 참가 기업의 이목을 끌었다.
인콘이 인수한 자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