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풍과 MBK파트너스는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지배권 방어를 위해 회사 자금을 유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려아연 측은 “허위 사실을 퍼뜨리며 비방전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영풍·MBK는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 회장 개인의 지배권 방어를 위한 회사 자금 유용행위가 지속되고 있다”며 “14일 주주를 대표해 고려아연 감사위원회에 작년 3분기 지급수수료가 급증한 이유에 대한 감사를 요청했다”고 했다.
고려아연 연결 재무제표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98억원이었던 지급수수료는 같은 해 3분기 281억원으로 3배 가깝게 증가했다.
영풍·MBK는 “자본시장 및 회계·감사 업계에서는 최 회장의 개인 지배권 방어 활동이 4분기에 더욱 확대된 점을 고려할 때 2024년 4분기 지급수수료 또한 3분기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항목들이 포함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관련 뉴스
이들은 “2024년 회계연도의 고려아연 외부감사인 회계법인 측에도 지배권 방어비용으로 최 회장 개인이나 관련 임원과 이사들에게 귀속될 비용이 회사에 전가됐는지 여부 등에 대해 감사보고서에 기재해달라는 요청서를 제출했다”고 했다.
이어 “최 회장의 지배권 유지를 위해 지출된 비용(법률자문비용 등)은 회사와 전체 주주의 이익과 실질적인 관련성이 적으므로, 최 회장은 물론 관련된 개인들의 비용으로 지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급격한 지급수수료 관련 법인의 비용과 개인의 비용이 정확하게 구분돼야 함은 물론이고 회계정보의 누락 또는 왜곡으로 인해 회계정보 이용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철저하게 감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려아연은 즉각 반박했다. 고려아연은 “5개월 넘게 적대적 인수합병(M&A)을 시도하며 기업 경쟁력을 훼손하고, 임직원에게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는 MBK와 영풍이 또다시 사실을 왜곡하며 내로남불식 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고려아연은 “분명한 사실은 MBK·영풍 측이 사적 이익을 위해 불필요하게 적대적 M&A를 일으켰다는 점”이라며 “원인 제공자가 ‘유체이탈’ 화법을 구사하는 것을 보며 황당함을 감추기 어렵다”고 했다.
고려아연은 “허위사실 유포와 사실 왜곡으로 국가기간산업을 흔들고 훼손하려는 MBK·영풍의 시도가 계속되고 있지만, 고려아연의 모든 임직원은 세계적 불확실성 속에서 국익을 지키기 위해 뭉쳐 이 위기를 극복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