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각종 시설물의 안전점검 결과 공개가 제도화된다.
행정안전부는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류희인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안전정책조정회의를 열어 부처별 안전점검 결과 공개 추진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행안부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개정해 국민에게 시설물 정보와 안전점검 결과 등을 공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계획
세월호 참사로 미국의 911과 같은 단일 긴급 신고전화 필요성이 대두됐지만, 정부가 검토 끝에 112와 119 양대 번호 체계를 사실상 유지키로 결정했다.
국민안전처는 현행 20개 신고전화를 내년부터 112, 119, 110으로 통합한다고 27일 밝혔다 .
안전처에 따르면 긴급한 범죄신고 번호는 종류와 무관하게 112로, 재난·구조 신고 번호는 119
앞으로 재난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육상은 30분 이내, 해상은 1시간 이내에 특수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게 된다. 국민들은 연령별 특성에 맞는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을 받는다.
국민안전처와 안전관리 관계부처는 이같은 내용의 2015년 안전혁신 추진방향 및 핵심과제를 21일 박근혜 대통령 연두업무시 보고했다.
먼저 국민안전처는 재난현장에서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
공기주입식 어린이 놀이기구인 에어바운스에 갇혀 어린이가 사망하는 사고가 또다시 발생해 논란을 빚고 있다.
12일 오후 1시 40분 쯤 울산 남구 무거동의 한 검도장에서 1급 지적장애를 앓고 있는 이모 군(8)이 대형 공기주입식 놀이기구인 에어바운스에 깔려 숨져 있는 것을 검도장 관계자가 발견, 경찰에 신고했다.
발견 당시 이군은 가로 10m, 세로 6m
앞으로 소비자 안전을 위협하는 품목에 대한 리콜 등 시장감시는 강화되고, 사전인증 규제수준은 단계적으로 완화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26일 이러한 정책방향을 담은 향후 3년간의 제2차 제품안전 종합계획을 수립,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안행부 등 안전관련 정부부처가 참석한 ‘안전정책조정회의’에 상정하여 보고됐으며‘기업의 자율적 책임 강화’라는 정책을 유
앞으로 샌드위치 패널건축물의 바닥면적이 1000㎡ 이상(종전 3000㎡이상)이면 난연성(불이 잘 번지지 않는 성질) 마감자재 사용이 의무화된다. 공장은 기존에 난연성 마감자재 사용 대상에서 제외됐던 유리제품 제조업 등 17개 업종이 내년 6월부터 추가로 적용 받는다.
또 내년 3월부터는 난연성 자재확인 절차를 도입해 감리자 또는 검사자가 건축감리와 사
정부가 성폭력 범죄자 검거율을 강도·살인자 수준으로 높이는 등 활동을 강화한다. 학교폭력 피해 경험 학생의 비율은 매년 10%씩 줄이고 가정폭력 재범률은 매년 4.5%씩 감축하며 식품안전체감지수는 90%까지 높인다.
30일 안전행정부는 보라매 안전체험관에서 성폭력·가정폭력·학교폭력·불량식품 등 21개 분야 안전관리 대책을 담은 ‘국민안전종합대책’을 발표했
최근 키즈카페 등 실내 놀이공간이 늘어났지만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시설은 대상별로 적용법안과 부처가 달라 행정당국이 안전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서울청사에서 25개 부처가 참여하는 ‘제1회 안전정책 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지난 3월부터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온 ‘키즈카페 등 신종 놀이공간 안전대책’을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