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창업·벤처 지원사업인 'K-Global 프로젝트' 지난해 성과를 발표했다.
457개 수혜기업 임직원 수는 5612명으로 2018년 말 3987명과 비교할 때 총 1625명(40.8%↑) 증가했다. 수혜기업 매출액은 4523억 원으로 2018년 매출액인 3313억원 보다 1210억 원(36.5%↑)
레몬헬스케어가 자사 대표 서비스인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M-Care(엠케어)’의 서비스명을 ‘레몬케어(LemonCare)’로 변경하고 리브랜딩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기존 환자용 모바일 앱 중심의 사업이 대중이 일상 속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로 다각화되면서 ‘일상 속 헬스케어 서비스 앱으로의 진화’라는 장기적 비전
레몬헬스케어가 미래에셋생명과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M-Care(엠케어)’ 기반의 실손보험 간편청구 서비스 ‘M-Care 뚝딱청구’ 서비스 구축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레몬헬스케어와 미래에셋생명은 양사의 인프라와 기술력을 활용해, 국내 주요 대형병원의 이용객들이 환자용 모바일 앱상에서 실손보험금을 손쉽게 청구할 수 있는 ‘M-Care 뚝딱청구’ 서비
모바일 헬스케어 스타트업 레몬헬스케어가 신한금융그룹 3사, KDB산업은행, 네이버 펀드 등 금융권의 대대적인 참여하에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레몬헬스케어는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M-Care(엠케어)’를 기반으로 병원 예약부터 실손보험 간편청구까지 진료를 제외한 환자가 경험하는 모든 진료 절차를 앱 하나로 해결할 수
레몬헬스케어가 KT와 개인 의료 데이터의 보완성을 강화한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병원 플랫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레몬헬스케어의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엠케어(M-Care)’ 전반에 KT의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GiGA Chain BaaS’을 적용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레몬헬스케어가 서울대학교병원서 자사의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엠케어(M-care) 기반의 환자용 모바일 앱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 오픈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이용객들은 진료 예약부터 모든 진료 절차를 모바일 앱을 통해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외래·입원·건강검진 등 환자의 구분에 따라 검사 결과 조회는 물론 회진·식단 안내
미래 먹거리인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플랫폼’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4일 컨설팅그룹 KPMG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 규모가 2015년 790억 달러(약 84조 원)에서 2020년 2060억 달러(약 231조 원) 규모로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병원·보험사·제약사 등 다양한 공급자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산업생
레몬헬스케어가 지난달 건국대학교병원에 이어 수도권 주요 대학병원인 중앙대학교병원에 자사의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엠케어(M-care) 기반의 환자용 모바일 앱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 오픈으로 중앙대병원·건국대병원 이용객들은 엠케어 기반의 환자용 모바일 앱을 통해 진료비 수납부터 실손보험 간편청구 및 전자처방전 전송까지 앱 하나
레몬헬스케어가 NH농협생명과 생보업계 최초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엠케어’ 기반의 실손보험 간편청구 서비스 ‘M-CARE 뚝딱청구’를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양사는 기존 KB손보가 ‘M-Care 뚝딱청구’ 서비스를 제공하던 세브란스병원,국립암센터,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한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6개 병원을 포함해 올해 상반기까지 주요 대형병원 등 약
장애인과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가 사용하는 일부 의료용 전동스쿠터의 정지거리가 품질 안전성 관련 기준에 부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 주행등 밝기 약하고 경사로에서 뒤로 밀리는 제품도 있었다.
12일 한국소비자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의뢰받아 조사·발표한 ‘전동스쿠버 비교정보’에 따르면 5개 제품 중 3개 제품이 정지거리와 야간주행안전 성능, 경사로
이수그룹의 IT계열사 이수시스템이 사물인터넷(IoT) 시장 공략을 위해 SK네트웍스서비스와 공동전선을 펼친다.
이수시스템은 13일 SK네트웍스서비스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보안 및 IoT 관련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 체결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및 IoT 시장에서 양사간 시너지를 통한 공동사업 추진
시중에 나와있는 고령자용 지팡이 중 일부 제품의 품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소비자원은 9일 소비자가 선호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14개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제품 특성을 시험한 결과, 일부 제품의 재료와 표시사항 개선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길이 조절식이며 T자형 손잡이에 금속 재질인 지팡이 제품이다.
손잡이가 목재로 만들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