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지난해 당기순이익 16조4196억…역대 최대비이자이익 2년 새 20.4% 증가…작년 10조5050억 원 기록
국내 금융지주사들의 수익 공식이 달라지고 있다. 4대 금융지주 비이자이익은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10조 원을 돌파했다. 한때 '뱅스터(뱅크ㆍ갱스터 합성어)'라고 불린 금융지주사들은 '이자장사'의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이달 신한은행 0.3%p 인하 이어iM뱅크 0.56%pㆍ우리 0.29%p↓당국 '가계대출 관리' 기조 유지에 한도ㆍ금리혜택 축소하는 은행도
국내 주요 은행이 대출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압박에 따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다만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가 올해에도 이어지는 만큼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산금리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4일 하나금융 시작 KBㆍ신한ㆍ우리 예정KB금융, 국내 첫 순익 5조 돌파 가능성 주목은행 대출ㆍ예대금리차 확대 호실적 견인
국내 주요 금융그룹이 다음 주 줄줄이 연간 영업 실적을 발표한다. 역대 최고 수준의 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금융당국과 정치권의 '상생금융'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 달 4일 하나금융을
농협은행 가장 커…국민ㆍ우리ㆍ하나ㆍ신한 순 시장 금리 인하기조에도…'이자 장사' 논란 커질 듯
국내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가 다섯 달 연속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후에도 은행들이 수신(예금) 금리를 줄줄이 낮춘 영향이다. 반면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은행의 이자이익 확대로 이어지면서, 은행권의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
24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대출)을 뺀 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가계예대금리차는 1.168%포인트(p)로, 전월(1.114%p) 대비 0.054%p 확대됐다.
한은, 24일 '2024년 1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발표가계대출·주담대 5개월 만에 하락 전환…기업대출도 하락 전환주담대 변동형 금리 4.32%, 고정형 4.23% 다시 앞질러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5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주담대 가운데 변동형 금리가 다시 고정형 금리를 웃돌았다.
한국은행은 24일 '2024년 12월 금융기
금융위 세 번째 월례기자간담회 개최"정치권 과도한 금리 개입 조심해야""기준금리 인하 반영해야 할 시기는 맞아"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2일 "이제는 기준금리 인하분을 대출금리에 반영해야 할 시기"라고 밝혔다. 사실상 은행권에 적극적인 가산금리 인하를 요청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25년이 시작됐고
예대금리차 이자 이익을 바탕으로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은행권이 임금 인상률과 성과급을 크게 확대했다. 노동조합 측의 요구에 따른 것인데, 내수 부진에 정국 불안까지 겹치면서 서민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은행들의 '돈 잔치' 논란은 올해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중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을 제외
가계대출 증가 폭 둔화이자 장사 비판 커 부담"한 곳 내리면 따라 할 수밖에"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가 줄줄이 인하될 전망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번 주 가계대출 상품의 가산금리를 최대 0.3%포인트(p) 낮춘다. 상품별 인하 폭 등 세부 내용은 조만간 확정될 예정이다.
가산금리 인하는 대출금리 하락으로 이어진다. 은행의 대출 금리는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예대마진 축소를 거듭 압박했음에도 넉 달 연속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 은행들이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하락을 이유로 수신(예금) 금리를 줄줄이 낮춘 영향이다. 반면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7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대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네 달 연속 확대됐다.
27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대출)을 뺀 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가계예대금리차는 1.15%포인트(p)로, 전월(1.036%p) 대비 0.114%p 확대됐다.
한은, 27일 ‘2024년 11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발표가계대출·주담대 금리 넉 달째 상승…예대금리차 3개월 연속 확대주담대 고정형 금리 4.31%, 변동형 4.25% 앞질러…2022년 10월 이후 처음“12월에 가산금리 인상 영향 거의 소멸…기준금리 인하 효과 내년 초에 나타날 것”
예금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변동형 금리를 2년여 만에
소상공인 금융부담 축소에 초점신청률 따라 은행권 재원 부담일각선 상생금융 정례화 우려도상생금융 비용 늘면 배당 여력 줄어
‘상생금융 시즌 2’에 앞장선 은행이 불안한 속내를 드러내고 있다. 상생금융 정례화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정례화에 대한 계획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으나, 금융당국이 지속성 있는 지원을 강조하고 나선 데다 매년 요구하는 규모도
주요 은행 수신금리 줄줄이 인하대출금리 요지부동 속 가계대출 속속 완화은행 예대금리차 3개월 연속 확대
은행 예·적금 금리가 줄줄이 낮아지고 있다. 대출금리는 꿈쩍 않는 반면 수신금리만 내림세다. 은행들이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하락을 이유로 예·적금 금리만 인하하고 있어서다. 대출금리는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명분을 앞세워 그대로 두면서 서서히 문턱은 낮
기준금리 인하 따른 시장금리 하락 영향향후 추가 인하도 전망대출금리는 당분간 높은 기조 유지될 듯예대금리차 효과로 은행만 웃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 수신금리 조정 눈치를 보던 은행들이 본격적으로 예·적금 금리를 내리고 있다. 반면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따라 대출금리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대마진 차이가 더
은행에 머물던 대기성 자금이 썰물처럼 빠지고 있다. 3월 이후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 주요 은행 요구불예금에서만 40조 원 가까이 줄어들었다. 반면 올해 정기예금에는 86조 원이 몰렸다. 금리 인하기를 맞아 주식과 부동산에 자금이 급격히 쏠린 가운데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돈은 대표적 안전자산인 정기예금으로 이동한 결과라는 해석에 힘이 실린다.
2일 금
두 차례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하에 은행 대출금리가 떨어지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은행의 대출금리는 최대 0.19%포인트(p) 하락했다.
국민은행은 2일 자로 은행채를 지표로 삼는 고정금리형 가계대출 금리를 최대 0.19%p 내린다. KB 신용대출(1년 고정·1등급 기준) 금리는 11월 마지막 주 연 4.31∼5.21% 수준이
2008년 이후 첫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인하 가계ㆍ자영업ㆍ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들 대출이자 부담 완화될 수도금융당국 가계부채 관리 압박에 은행들 대출금리 인상이 관건실체 금리 인하 체감까지는 시일 걸릴 듯
2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두 달 연속 인하하면서 이자부담에 허리가 휘는 차주들의 부담이 다소 완화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그 동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예대마진 축소를 거듭 압박했음에도 석 달 연속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관리하기 위해 대출금리에 적용되는 가산금리를 올린 반면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예금금리는 내린 영향이다.
27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대출)을 뺀 신규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세 달 연속 확대됐다.
27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대출)을 뺀 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가계예대금리차는 1.036%포인트(p)로, 전월(0.73%p) 대비 0.306%p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