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능력평가 3위의 대우건설이 새 수장을 맞으며 오너가(家) 경영 체제를 굳건히 했다. 중흥그룹 인수 3년 만의 일이다. 신임 대표의 첫 시험대는 업황 부진으로 떨어진 실적 회복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건설은 김보현 신임 대표의 취임식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주 이사회에서 정식 선임된 지 닷새 만이다. 그는 지난달 백정완 전 사장의 대표이사직
풀무원이 총괄 최고경영자(CEO)로 공채 출신 이우봉 전략경영원장을 선임하며 2기 전문경영인 체제를 출범한다.
풀무원은 6일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이우봉 전략경영원장을 차기 총괄CEO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작한다.
풀무원은 33년간의 오너 경영을 마치고 2018년부터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해 이효율 총괄CEO를 선임한 바 있
“‘히든스탁 효과’로 증시 하단 올릴 수 있어”“‘상속세 부담’ 경영권 승계 중견·중소 주목”
코리아 밸류업 지수 편입 조건에서 ‘의외’라는 시장 반응을 일으킨 대목 중 하나는 ‘시가총액 약 5000억 원 이상’이다. 시총이 5000억 원보다 작아도 주주환원 등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의지가 있는 기업이 밸류업 지수에서 제외될 수 있어서다.
밸류업 지
오너 경영이 중심인 제약업계의 세대교체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아직 30대인 오너 3세들이 경영 일선에 전면적으로 나서고 있다. 젊은 피들의 활약이 업계에는 활력을, 기업에는 비전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견 제약사 창업주 손자들이 잇따라 대표이사를 비롯한 회사의 요직에 자리 잡았다. 30대의 나이에 3세 경영을 본격
“한앤코 믿고 갑니다. 한앤컴퍼니 만세”, “기다린 보람이 있네요. 이제 100만 원 아니 주당 만 원 가는 건 시간문제”, “의구심이 공시로 다 해소. 액분(액면분할)은 공개매수에 절대 불리한데 주가부양 의지가 있다는 것.”(남양유업 종목토론방)
남양유업의 주가가 오너 경영 끝 무렵 수준으로 돌아가자 최대주주인 한앤컴퍼니(한앤코)가 남양유업 구하기에
CXO연구소, 1970년 이후 출생한 젊은 오너가 임원 318명 분석 70년생 이후 출생한 회장·부회장만 83명1980년 이후 출생한 MZ세대도 15명 활약
1970년 이후에 태어난 주요 오너가 320여 명 중 회장(총수 포함)과 부회장 타이틀을 단 젊은 임원이 올해 83명으로 조사됐다. 작년 64명보다 20여 명 늘었다. 특히 300명이 넘는 젊은
모든 주주이익 동시 보호는 불가능기업사냥꾼도 대상…이치에 안맞아배임죄 완화해야 기업가정신 살아나
상법개정 논의는 금년 초 윤석열 대통령이 “소액주주 이익을 책임 있게 반영할 수 있는 상법개정을 추진하겠다”는 발언에 의해 추동됐다. 후속 조치로 상법상 이사의 충실의무를 회사에서 ‘회사와 주주의 비례적 이익’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윤석열
올해 초 시작된 한미약품그룹 창업주 일가의 경영권 분쟁이 ‘키맨’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을 통해 끝을 맺었다. 창업 이래 이어진 오너경영에서 전문경영 체제로 변화가 전망되는 가운데 신 회장이 얼마만큼 영향력을 행사할지 주목된다.
10일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사내이사 측은 6개월 이상 끌어온 가족 간 분쟁이 신 회장을 중심으로 종식됐다고 밝혔다. 송영숙·임주
국가 경제의 큰 축은 산업과 금융으로 나뉜다. 산업과 금융은 톱니바퀴처럼 엮여 함께 성장한다. 하지만 한국의 산업과 금융의 격차는 크다. 산업 분야에서 전자, 반도체, 자동차 등 세계 일류 상품을 만든 글로벌 스탠다드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금융은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변방이다. 1897년 한국 최초의 근대적 은행인 한국은행이 설립된 후 127년이 흘렀고
전문 변호사 선임 등 절차 비용부채‧자산 따라 억대까지 나와오너 경영권 상실 문제도 심각제때 진행 못해 좀비기업 전락“채권자 소송 등 사회 비용 커져”
#. 대형 로펌을 중심으로 지난해부터 법인 회생·파산에 관한 문의가 부쩍 늘었다. 하지만 자산 총액이 300억 원이 넘는 법인이 회생 절차를 밟기 위해서는 5000만 원 상당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법률 자문
“여우가 호랑이의 허리를 끊었다.”
올해 첫 1000만 관객 돌파 영화 ‘파묘’를 관통하는 대사다. 영화는 한반도를 강탈한 일본(여우)이 한반도(호랑이)의 큰 산줄기인 백두대간(허리)에 쇠말뚝을 박아 정기를 끊으려 했다는 설(說)에 집중해 줄거리를 이어간다. 영화 속에서 드러난 쇠말뚝은 참으로 ‘험한 것’이며, 그 실체는 가히 충격적이다. 일본이 애써
남양유업의 60년 오너경영 체제가 끝났다. 이로써 남양유업 경영권을 확보한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가 본격적으로 회사 경영에 나선다.
남양유업은 29일 서울 논현동 본사 강당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임시 의장 선임의 건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사 신규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감사 보수한도
주요 상장 건설사들이 본격적인 주주총회 시즌에 돌입한다. 주요 안건으로 그룹 장남들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을 상정해 오너 경영 본격화를 추진하거나, 사명에서 ‘건설’을 떼어내 주택 일변도의 사업 구조를 탈피하고, 미래 먹거리를 위한 신사업 비전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고민이 엿보인다.
20일 금융감독원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SGC이테크건설을 시작으로
남양유업 오너 경영이 60년 만에 막을 내렸다.
남양유업은 최대주주가 홍원식 외 3인에서 한앤코19호 유한회사(한앤코)로 변경됐다고 30일 공시했다.
최대주주가 된 한앤코의 지분율은 52.63%이며, 소유 주식수는 37만8938주다.
남양유업은 최대주주 변경 사유에 대해 “주식매매 계약에 대한 대법원 확정 판결로 주식소유권 이전 및 대금지급 완료”라
기업의 경영 체제는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첫째는 기업이 사업을 영위하는 분야의 전문가를 영입해 최고경영자(CEO)로 앉히는 ‘전문 경영’ 체제다. 다른 하나는 기업의 최대 주주가 직접 CEO까지 맡아 기업을 이끌어 가는 ‘오너 경영’이다.
오너 경영의 장점은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 독단적인 판단으로 경영권을 오·남용할 수 있고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이 한앤컴퍼니와의 경영권 분쟁 소송에서 최종 패소했다. 소송전이 마무리되면서 남양유업은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남양유업은 4일 "경영권 분쟁 종결로 남양유업 구성원 모두는 회사의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위해 각자 본연의 자리에서 맡은 업무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는 사모
권오현 삼성전자 전 회장은 자신의 책 ‘초격차’에 이렇게 썼다. “널리 알려진 대로 이건희 회장의 뚝심이 아니었으면 지금의 한국 반도체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투자를 결정했던 그의 기업가 정신이 현재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권 전 회장은 전문경영인의 특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
주요 그룹 세대교체 속도경영 불확실성 극복 과제
재계 오너가 새대교체가 빨라지고 있다. 앞서 4대 그룹에서 1960∼1970년대생 오너가 3ㆍ4세가 회장을 달고 경영 전면에 나선 가운데, 다른 그룹들도 30∼40대 젊은 오너가 가세하면서 변화와 혁신에 나섰다.
이들이 글로벌 경기 침체로 속에 경영 환경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미래 성장 기반을
세계 보험산업 최초 노벨상 '부자' 수상보험 명예의 전당 월계관상 대 이어 영예사랑의 정신, 인간의 존엄성 강조사람 중심 경영, ESG 선두주자
보험의 노벨상인 ‘보험 명예의 전당 월계관상(Insurance Hall of Fame Laureate)’. 2023년 수상의 주인공은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이다. 그의 부친인 고(故) 신용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