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계, ‘두 국가 해법’ 위한 정치로드맵도
“채택 위해선 전례없는 통합 필요해”

아랍국 정상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점령과 재건 구상에 대응하는 ‘재건 계획’을 추진한다고 19일(현지시간) AFP통신이 보도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외교 정책 전문가인 우메르 카림은 AFP에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계획에 대항하는 재건 계획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와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요르단,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등 아랍국 정상들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21일 사우디 리야드에 모여 가자지구 재건 계획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회담은 내달 4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리는 아랍연맹(AL) 정상회의의 사전협의 성격으로, 가자지구 문제가 핵심 논제다.
관련 뉴스
아랍국의 자체 재건 계획은 이집트가 마련한 것으로,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으나 이집트의 외교관 출신 모하메드 헤가지는 “3~5년에 걸친 세 가지 단계로 구상됐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팔레스타인 주민을 주변국으로 강제 이주시키고, 가자지구를 미국의 소유로 해 개발하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집트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이주시키지 않고 가자지구를 재건,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를 배제한 지역위원회가 통치하게 만드는 구상이다.
헤가지에 따르면 이집트의 재건 구상 첫 단계는 초기 회복 단계로서 잔해 제거 및 가자지구 내 안전구역을 확보해 주민들을 이곳으로 일시적으로 거주하게 할 계획이다. 두 번째 단계에선 인프라 재건, 마지막으로는 주택 건설, 교육 및 의료 서비스 구축 등을 추진한다.
특히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된 국가로 존재하면서 평화롭게 공존하도록 하는 ‘두 국가 해법’을 위한 정치 로드맵도 본격 추진한다는 게 이집트의 계획이다.
카림은 이 계획이 채택되려면 수십년 간 보지 못한 수준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게다가 무엇보다 큰 관건은 재건 비용으로 유엔이 추산한 가자지구 재건 비용은 총 530억 달러(약 76조 원)다. 재건 비용 중 200억 달러는 걸프국가들이 공동 출자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