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굵직한 자산 매각의 성과를 보이는 동시에 아시아나항공 인수 통합계획안을 확정했다. 항공산업 재편에서 독보적인 시장 지배자로서의 도약이 가시권에 접어들었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산업은행의 확인을 거쳐 아시아나항공 인수 통합계획안(PMI)을 최종 확정했다. 통합 실행 계획에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인수 통합계획안 확정
△태영건설, 7000억 원 규모 마곡동 업무시설 신축공사 수주
△DL건설, 1190억 원 규모의 재개발정비사업 수주
△광명전기, 79억 규모 도시형생활주택 공사 수주
△일성건설, 450억 규모 공동주택 공사 계약 체결
△남양유업, “세종공장 2개월 영업정지 확정된 것 아니다”
△SK디앤디, 1153억 규모 청
대한항공은 산업은행의 확인을 거쳐 아시아나항공 인수 통합계획안(PMI, Post Merger Integration)을 최종 확정했다고 30일 공시했다.
통합 실행 계획에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저비용항공사(LCC)인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계열 항공사의 통합한다.
지주회사의 행위 해소 방안으로 아시아나항공 자회사 편입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24일로 취임 2주년을 맞는다. 고(故) 조양호 회장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그룹 경영권을 이어받은 그는 창업주인 조중훈 회장과 아버지 조양호 회장에 이어 3대째 ‘수송보국’을 실현하고 있다.
1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한진그룹은 24일 조원태 회장의 취임 2주년을 맞이한다. 다만 별도의 기념행사는 열지 않을 예정이다.
그는 취임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하고 2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합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비용항공사(LCC) 자회사뿐만 아니라 지상조업사 등도 하나로 통합할 방침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인수ㆍ통합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은 31일 아시아나항공 인수ㆍ통합계획(PMI) 관련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17일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하고 2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합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비용항공사(LCC) 자회사뿐만 아니라 지상조업사 등도 하나로 통합할 방침이다.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은 31일 아시아나항공 인수ㆍ통합계획(PMI) 관련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17일 산업은행에 제출한 PMI에 포함된 내용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우 사장은
△대한항공, “산은에 아시아나항공 인수 통합계획안 제출”
△현대오일뱅크, 1800억 규모 현대케미칼 주식 추가 취득 결정
△신풍제지, 서정 전 부국증권 상무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
△경동인베스트, 정승진 대표이사 신규 선임
△GS글로벌, 서진욱 김앤장 고문 사외이사로 신규선임
△미원홀딩스, “주가 변동 해당 사항 없다”
△한화, 김승모ㆍ김맹윤 각자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인수 후 통합전략과 관련한 언론 보도에 대해 “당사는 지난 17일 한국산업은행에 아시아나항공 인수 통합계획안을 제출했다”고 29일 공시했다.
회사 측은 “현재 산업은행과 협의하에 기 제출한 인수·통합계획안을 보완·수정하고 있다”면서 “이런 과정이 모두 종료된 이후 최종 계획을 확정 지을 예정이며 최종 인수·통합계획 확정 시 관련 내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해 주주총회를 열고 정관을 변경한다.
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6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유상증자를 위한 주식 총수 정관 일부 개정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정관 제5조 2항에 명시된 주식 총수를 2억5000만 주에서 7억 주로 변경할 계획이다. 정관 변경은 특별 결의 사안으로 주
농협금융지주가 재도약을 위해 우투증권 패키지 통합 작업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허원웅(53) 전 농협금융 경영지원부장이 단장으로서 PMI(기업인수 후 조직통합) 추진단을 진두지휘 할 계획이다.
농협금융는 13일 우리투자증권 패키지 인수 작업을 위한 PMI 추진단을 꾸리고 사무실 현판식을 열며 이같이 밝혔다.
허 단장은 196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