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독협회는 ‘제11회 이미륵상’ 수상자로 세계적인 괴테 전문가이자 독문학자인 전영애 서울대 명예교수를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미륵상은 한독협회와 독한협회가 1999년 이미륵 박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제정한 상으로 한국과 독일 양국의 문화교류 증진에 기여한 인사에게 매년 번갈아 수여하고 있다. 이미륵 박사는 1920년 독일로 망명해 소설
문재인 대통령이 4일 국토교통부와 보건복지부 등 4개 부처에 대한 개각을 단행했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문 대통령의 장관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행정안전부 장관에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 보건복지부 장관에 권덕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 여성가족부 장관에 정영애 한국여성재단 이사, 국토교통부 장관에
삼성생명공익재단이 11일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를 선정해 발표했다.
올해 수상자는 △여성선도상 김명자(76) 서울국제포럼 회장 △여성창조상 전영애(69)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명예교수 △가족화목상 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 1호, △청소년상 임연희(16, 대광여고ㆍ박민영(16, 강원고)ㆍ김윤섭(17, 수도전기공업고)ㆍ김하늘(19, 대구과학대 1)ㆍ박
한국인들은 늘 화가 나 있고 못마땅한 게 많아서 어쩔 줄 모르는 상태로 보인다. 울분과 냉소, 이 두 가지가 한국인들을 지배하는 정서인 것 같다.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마음이고 기분인데, 이렇게 심리상태가 건전하고 건강하지 못하니 사회가 안정돼 발전을 지향하기 어렵다. 발전은커녕 울분과 냉소가 합쳐지면 다른 사람들과 사회에 대한 극단적 공격 행동이 빚어지곤
누구든 쉽게 에세이를 책으로 펴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지만, 깊은 여운을 남기는 책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괴테 연구가이자 30여년 동안 서울대에서 학생을 가르쳐 온 전영애 교수의 ‘인생을 배우다’(청림출판)는 독특한 향기와 깊이가 담긴 책이다.
가벼움을 부추기는 시대에서 다양한 경험을 담은 책은 삶의 무게중심을 다시 확인시켜 주는 기쁨이 있다. 책의
서울대가 활발한 연구활동 등으로 교육 수준 향상에 기여한 교수들을 선정해 시상한다.
서울대는 교육 수준 향상에 기여한 학내 교수에게 주는 ‘2011학년도 교육상’ 수상자로 전영애 독어독문학과 교수 등 5명을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교육상에는 김선구(경제학부), 안경원(물리·천문학부), 김용권(전기·컴퓨터공학부), 윤석화(경영학과) 교수가 포함됐다
서울대는 3일 교육 수준 향상에 기여한 학내 교수에게 주는 '2011학년도 교육상' 과 탁월한 연구활동을 보인 연구진에게 주는 '2011학년도 학술연구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교육상 수상자는 △전영애(61·독어독문학과) △김선구(54·경제학부) △안경원(52·물리·천문학부) △김용권(52·전기·컴퓨터공학부) △윤석화(43·경영학과) 교수가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