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제약사들의 오너 2·3세 경영이 올해도 속도를 낸다. 초고속 승진과 이사회 진입을 통해 회사 내 역할을 강화하고 입지를 다지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제약사 창업주의 2세·3세들이 활발히 경영 보폭을 넓히고 있다.
한독은 2024년 임원 인사를 통해 고(故) 김신권 명예회장의 손자이자 김영진 회장의 장남인 김동한 상무를 전무로
제약·바이오 기업 경영진의 세대교체가 한창이다. 창업주의 2~3세가 대거 승진하며 경영 일선에서 두각을 보인다. 신세대 리더들의 경영이 투자자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광동제약, 삼진제약, 대원제약 등 전통 제약기업들이 가업 승계 구도를 공고히 했다.
광동제약 창업주인 최수부 회장의 장남 최성원 부회장이 이달
삼진제약 공동창업주의 2세 조규석(52) 부사장과 최지현(49) 부사장이 나란히 사장으로 승진했다.
삼진제약은 2024년 1월 1일부로 경영관리 및 생산을 총괄하는 조 부사장과 영업 마케팅 총괄 최 부사장을 각각 사장으로 하는 경영진 인사를 포함해 임직원 111명에 대한 승진을 단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조 사장은 조의환 공동회장의 장남, 최 사장은
제약바이오업계가 정기주주총회 시즌에 돌입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명예회장이 2년 만에 이사회에 복귀하고, 현 경영진 재선임 등 관전 포인트가 다양하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대다수가 임기가 만료되는 대표이사들의 재선임을 안건으로 올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7일 주총에서 존림 대표를 사내이사 재선임한다. 존림 대
하나제약이 2020년부터 2년간 지분을 매수한 끝에 삼진제약 최대주주에 올라섰다. 회사 측은 지분 매수의 이유를 ‘단순 투자’로 밝히고 있는 가운데 삼진제약의 2세 경영권 분쟁을 노리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등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전일 최대주주 변동 공시를 내고, 기존 조의환 외 3인(12.85%)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젊은 경영진을 전면에 내세우며 2022년를 겨냥한다.
업계에서는 제약바이오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변화가 빠르게 발전하는 데다 K제약ㆍ바이오 산업도 세계적인 기술과 트렌드를 따라잡기 위해 젊은 피를 수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말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부사장 1명, 상
삼진제약은 26일 서울 서교동 본사 강당에서 제 53기 정기주주총회를 열어 조의환·최승주 사내이사를 재선임하고 지난해 경영 실적 및 2021년 영업 기조 보고 등 현안을 의결했다.
회사는 2020년 영업 보고를 통해 매출 2352억 원, 영업이익 322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주당 800원의 현
장수 기업이 포진한 제약업계가 신년에도 오너 경영을 강화한다. 경영 전면에 등장한 오너 2~4세들이 성과를 내고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다수의 제약기업들이 새해를 맞아 오너가(家) 자녀를 승진시키며 본격적인 경영권 승계 작업에 나섰다.
보령제약은 보령홀딩스 신임 대표이사에 김정균(35) 운영총괄을 선임했다. 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오너들이 올해도 쏠쏠한 배당잔치를 벌였다. 제약·바이오산업의 외형 성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십 억대 배당금을 받는 오너도 해마다 늘고 있다.
18일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18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다수의 오너가 억대 배당금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배당금이 10억 원을 넘긴 오너는 총 13명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 가
제약·바이오 업계도 정기 주주총회 시즌이 시작됐다. 주요 상장사들은 이번 주총에 임기가 만료되는 전문경영인 출신 최고경영자(CEO)의 재선임 안건을 상정했다. 대부분은 ‘변화’ 대신 안정을 택하며 ‘CEO 연임’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상위 제약사 중에는 대웅제약이 12년 만에 수장 교체가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1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제약·바이
주요 제약회사 등기임원들의 2014년도 연봉이 공개된 가운데, 지난해 유한양행을 제약업계 최초로 매출 1조원으로 이끈 김윤섭 전 대표의 연봉은 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해 김윤섭 유한양행 전 대표에게 △급여 4억5500만원 △상여 2억900만원 △기타근로소득(자녀장학금) 2486만원 등 총 6억8
삼진제약은 20일 오전 서울 마포구 메리골드호텔에서 제47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정기 주총에서는 최승주·조의환 대표이사 회장을 재선임하고, 올 한해 인재경영과 고령자 질환 치료제를 집중 육성해 성장세를 잇기로 결의했다.
삼진제약은 영업 보고를 통해 지난해 경기불황과 약품비 절감 장려금제 등 정책 리스크 속에서도 2013억원의 매
내년 뱀띠해에 가장 기대되는 뱀띠 최고경영자는 누굴까?
53년생인 구자열 LS그룹 회장은 재계에서 올해 화제의 인물로 꼽힌다. 그는 사촌형인 구자홍 회장에게 경영권을 받았다. 기업 최고의 자리를 놓고 친형제간에도 싸움이 빈번한데 무척 이례적인 사건으로 꼽힌다. 구 회장은 내년 1월 2일 취임식을 갖고 공식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자리에 오른다.
12일 기업분
올해로 창사 43주년을 맞은 삼진제약은 지난 14일 전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기념행사를 갖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초일류 제약사'로 성장할 것을 결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삼진제약은 경기도 여주 한국노총중앙교육원에서 최승주 회장, 조의환 회장, 이성우 대표이사 및 전 임직원과 가족 5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창립 기념식 및 단합행사'를 개최
우수한 연구기술을 가진 대학과 기업을 잇는 R&D 종합거래의 장이 열린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조의환)은 대학 Lab의 우수한 연구역량을 모두 만날 수 있는 R&D 종합거래의 장 '2010 Tech-Trans Fair in Pharma & Bio'를 오는 9월15일 엘타워 5층 매리골드홀에서 한국연구재단, 한국대학기술이전협회와 공동으로 주관해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조의환, 이하 연구조합)은 우리나라 제약산업발전과 신약연구개발의 의욕을 고취하고 고부가가치 신약개발기업과 신기술창출 및 기술수출기업의 업적을 영구히 기념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지식경제부의 후원으로 제11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KNDA; Korea New Drug Award)을 공모 중이라고 밝혔다.
신청기간
한미약품은 지난 2004년 9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성분명:암로디핀)’을 출시했다. 아모디핀은 발매되자마자 신약보다 저렴한 가격을 장점으로 국내 시장을 공략했다.
아모디핀은 수입약인 노바스크의 베실레이트염을 캠실레이트로 바꾼 제품으로 외자사가 독점했던 암로디핀 고혈압 시장 진입에 처음으로 성공하며 2008년까지 547억원의 약값절감 효과를 거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