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약‧바이오산업 약 10년 새 66% 급성장빅파마와 M&A‧기술이전 증가로 기술력 입증향후 K바이오에 위협…임상서 숫자로 성과 내야
최근 중국 바이오업계가 대형 인수합병(M&A)과 기술이전 계약 등을 성공시키며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이 글로벌 파이프라인의 23%를 차지할 만큼 성장했다. 기술력이 좋지 않다는 것도 옛말이다. 제약·바이오업계는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은 중국 라노바메디슨(LaNova Medicines)과 CD80-IL-2 융합단백질 ‘GI-102’, CLDN18.2 항체-약물접합체(ADC) 병용요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MOU는 지난 15일(현지시간) JP모건 헬스케어컨퍼런스(JPM 2025)에서 진행됐다.
지아이이노
미국 정부의 중국 견제에도 중국 바이오 시장에 투자하는 글로벌 빅파마가 증가하고 있다. 업계는 최근 몇 년 새 중국이 바이오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내는 만큼 중국에 대한 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9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스위스 제약사 로슈는 이달 2일(현지시간) 중국 제약사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의 항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유럽 등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원료의약품(API) 이슈로 의약품 공급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원료 의약품 자급률을 높이고 의약품 부족 예측·대응 시스템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엄승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상무는 6일 서울 서초구 제약바이오협회 회관에서 열린 ‘2024 프레스 세미나’에서 ‘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벌이면서, 증권가에선 두 후보의 정책을 비교하며 수혜주를 찾는데 열을 올리는 중이다. 누가 대통령이 될지 아직 알 수 없지만, 시장에선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수혜를 받을 섹터로 방산과 전력 등 인프라, 제약·바이오 등이 거론되고 있다.
두 후보
해외 벤처캐피탈‧기업 등으로부터 투자 유치쓰리빅스‧로피바이오‧업테라…의료AI 웨이센도국내 기업, 자본 조달‧해외 기업과 협업 등 가능투자사는 韓 연구 인프라 사용 및 亞 진출 유리
K바이오·헬스케어 기업들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투자에 성공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 투자 환경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해 연구개발(R&D) 비용을 확보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미국의 생물보안법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R&D) 소통의 장을 열고 국내 바이오 R&D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KEIT는 바이오분야 산업기술 연구 현장 목소리의 체계적 분석과 R&D 혁신의제 발굴을 위해 25일 한국생물공학회 추계학술대회와 연계한 '산업기술 그랜드포럼(바이오분과)'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피벗(통화정책 전환)을 단행하면서 자금이 바이오로 몰리고 있다. 특히 최근 3년 만에 ‘황제주(주당 100만원이 넘는 주식)’로 복귀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주가가 크게 올라 코스닥 시장 시가총액 1위 자리에 오른 알테오젠 등 대장주를 품은 바이오 상장지수펀드(ETF)가 하반기 수익률 상위권에 자리 잡았다.
25일 금융투
미국 생물보안법이 9일(현지시간) 하원을 통과했다. 생물보안법은 미국이 안보에 우려가 된다고 규정한 중국 바이오 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제정한 법안으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일명 ‘바이오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불린다.
해당 법안으로 중국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우시 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 등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중국 바이오기업 견제를 위해 입법화가 진행 중인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이 미국 하원을 통과했다. 업계에서는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의 반사이익이 기대되지만, 비 중국계 글로벌 CDMO와 경쟁에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1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9일(현지시간) 본회의에서 생물보안법을 찬성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가 10일 장중 100만 원을 돌파하는 등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날 오후 2시 12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3.41% 오른 99만8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날 101만 원까지 오르며 지난달 28일 이후 9거래일 만에 100만 원 선을 재돌파했다.
중국 바이오기업 제재 내용을 담은 미
찬성 306 대 반대 81로 통과블룸버그 “상원까지 통과해 법제화 가능성 70%”중국 5개 기업 영향받을 듯
미국 하원이 중국 바이오산업 제동을 걸기 위한 목적으로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을 통과시켰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미국 하원 상임 위원회는 생물보안법을 찬성 306표, 반대 81의 표로 통과시켰다. 하
잇단 성과에 하반기 제약‧바이오주 상승장 유한양행 FDA 허가, 삼바 ‘황제주’ 복귀 알테오젠, 코스닥 시가총액 1위 등극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의 굵직한 성과에 제약·바이오주 투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코스닥 시총 1위에 오르는가 하면 황제주(주당 100만 원이 넘는 주식)에 복귀하는 등 주식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번 상승세는 기술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이 도내 바이오 스타트업의 중국시장 진출 및 투자유치를 위한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경과원은 중국 바이오 투자기관 9개사를 초청해 '한국혁신기업로드쇼 K-Demo Day(바이오분야)'를 광교테크노밸리 경과원에서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데모데이'는 4월 말 중국 중관촌 혁신포럼에서 경과원과 베이징 중관촌 간 M
상의, '하반기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 결과 발표반도체, IT 전방 수요 증가 등으로 유일하게 ‘맑음’ 전망자동차·조선·이차전지 등 ‘대체로 맑음’ 예상 철강·석유화학은 중국발 공급과잉 우려로 ‘흐림’
올해 하반기 주요 산업 전반에 수출회복 흐름이 예상되는 가운데 업종별로 세부 전망은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다. 반도체 산업은 주요 업종 중 유일하게 ‘
미국 의회가 올해 통과를 추진하던 생물보안법에 제동이 걸렸다. 미국의 안보와 국방정책‧예산과 지출을 다루는 국방수권법(NDAA)에 포함되지 않으면서다. 생물보압법 영향권에 있던 우시바이오로직스, 우시앱텍 등 중국 기업은 한숨 돌리게 됐다.
16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이달 11일(현지시간) 열린 하원 규칙위원회에서 생물보안법안이 ND
“올해 바이오USA에 참가한 한 글로벌 제약사는 이번 행사에서 미팅의 90%가 한국 기업이라고 합니다.”
3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막한 ‘2024 바이오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에 참가한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행사에서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의 경쟁력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는 의미다.
바이오US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은 글로벌 최대 종합 바이오 전시회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 참가한다고 29일 밝혔다. 나이벡은 현장에서 ‘NP-201’ 등 주요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개발(R&D) 성과를 소개하고 글로벌 빅파마들과 후속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할 계획이다.
NP-201은 나이벡이 자체 개발 중인 재생기전
100조 원을 훌쩍 넘을 비만치료제 시장이 개화하면서 글로벌 제약사들이 노다지 캐기에 나섰다. 노보 노디스크가 시장을 먼저 장악한 가운데 ‘위고비’의 아성을 깨려는 기업들의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는 지난해에만 313억4300만 크로네(약 6조2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셀트리온, 美 대형 PBM과 짐펜트라 등재 계약 체결
셀트리온은 미국 대형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익스프레스 스크립츠(ESI)와 짐펜트라 등재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29일 밝혔다. 짐펜트라는 2190만 명의 커버리지를 보유한 ESI 처방집에 선호의약품으로 올라갔다.
짐펜트라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은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