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서울시 주관 ‘서울 금연 도시 성과대회’ 최우수상QR 안내판 성과 인정…장려상까지 유일 2개 수상
서울 서초구가 ‘2024년 서울 금연 도시 성과대회’의 ‘금연환경 조성 분야’에서 최우수상(1위), ‘청소년흡연예방 분야’에서 장려상(3위)을 받아 서울 자치구 중 유일하게 2개 부문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4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이번 대회는 서울
흡연율과 음주율이 2년 연속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17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30세 이상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지난해 20.6%로 전년보다 0.8%포인트(P) 올랐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9.1%로 전년과 같았다. 그나마 혈압, 혈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만 주관적으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의 공식 학술지 ‘주간 건강과 질병’ 제16권 제26호에는 이 같은 내용의 ‘생애주기별 한국인의 행복지수 영향요인(설로마·전진호)’ 논문이 게재됐다.
연구진은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22만6545명의 행복지수를
우리나라 성인이 느끼는 삶의 만족감 ‘행복지수’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질병관리청의 공식 학술지 ‘주간 건강과 질병’에 실린 ‘생애주기별 한국인의 행복지수 영향 요인’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진은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22만6545명(남자 10만2284명, 여자 12만4261명)을 대상으로 행복지
로봇 도입이 많이 증가한 지역에서 근로자의 산업재해 발생 건수가 줄어들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로봇 도입이 산업재해와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BOK경제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9년 기준으로 로봇노출도(근로자 1000명당 로봇대수)가 1표준편차(9.95대) 증가했을 때, 근로자 100명당 재해근로자 수가 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자가 1700만 명을 넘어서며 코로나19 후유증(롱코비드)을 겪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 격리 해제 수개월 후에도 기침과 호흡기증상, 만성피로가 지속되고 정신건강과 관련된 우울·불안을 느끼는 환자도 늘고 있다. 의료 전문가들은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진료와 치료 대책 마련과 코로나19 후유증 사례 분석과
발에 채이는 것이 돌이건만. 돌도 돈을 주고 사는 시대가 됐습니다.
그런데 그냥 돌은 아니랍니다. 강아지나 개처럼 키우는 ‘반려돌’입니다. GS리테일이 이달 29일까지 GS25에서 드림스톤(원예용 에그스톤), 러브스톤(로즈쿼츠 천역석), 리치스톤(레몬쿼츠 천연석) 등 반려석 3종의 판매한다고 밝혔는데요. 가격은 종류에 따라 1만900~1만4800원이라
흡연·음주 등 주요 건강지표는 개선됐으나, 지역 간 격차는 다소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전국 255개 보건소가 주민건강실태 파악을 위해 2008년부터 만 19세 이상 대상으로 보건소당 약 900명의 표본을 추출해 매년 8~10월 조사하는 법정조
고소득자의 건강수명이 저소득자보다 11세 이상 긴 것으로 분석됐다.
15일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에 실린 ‘포용복지와 건강정책의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5분위) 인구의 기대수명은 85.1세, 건강수명은 72.2세였다. 반면 소득 하위 20%(1분위) 인구의 기대수명은 78.6세, 건강수명은 60.9세에 불과했다. 건강수명
금연·절주·걷기 등 건강생활을 실천하는 성인이 10명 중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2016 지역사회 건강조사’에 따르면 성인 건강생활 실천율은 27.1%로, 2015년(28.3%)보다 1.2%포인트 감소했다.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08년(34.3%)보다는 7.2%포인트나 떨어졌다.
건강생활 실천율이 높은 지역
금연, 절주, 걷기 등 건강생활을 실천하는 사람이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2016 지역사회 건강조사'에 따르면 성인 인구 가운데 금연, 절주, 걷기를 모두 실천하는 '건강생활 실천율'은 27.1%로 나타났다. 2015년(28.3%)보다는 1.2%포인트 감소했다.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08년(34.3%)보다는 7.2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 가운데 금연과 절주, 걷기 등 건강관리를 가장 잘하는 사람은 서울시민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도민은 건강관리를 제일 안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가 17일 발표한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를 보면 금연과 절주, 걷기를 모두 실천하는 성인의 비율은 서울이 41.1%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20.5%로 제일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박노례 석좌교수가 2015년도 제29회 보건대상을 수상했다.
박노례 교수는 50여 년간 보건직, 공무원, 교육자로 재직하면서 우리나라 보건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대한보건간호사회 회장, 국립보건원 훈련부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상무이사, 건강증진기금 심의위원회 부위원장, 호스피스 기관 선정위원 위원장을 역임하며 보건 분야 선진화를 이뤄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