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상반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이 전년대비 6.2% 증가했다.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높은 해상운임 등 항만물류 여건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면 하반기 물동량의 지속적인 상승세를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30일 2024년 상반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1495만TEU) 대비 6.2%
2018년 설립 이후 성장세를 구가하던 밸류링크유의 매출 신장에 제동이 걸렸다. 1년 전과 비교해 매출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고 누적된 손실 등으로 계속기업 불확실성도 제기됐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밸류링크유는 지난해 9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직전 해인 2022년(184억 원)과 비교하면 49.8% 감소했다. 영업손실도 계속됐다
올해 1분기 항만물동량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했지만,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크게 늘면서 수출과 내수의 양극화가 심화하는 모습이다. 항만물동량은 대표적인 경기후행지수다.
2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9341만 톤)보다 0.5% 감소한 총 3억9137만 톤의 물량을 처리했다. 월별로는 1월 전년동월대비 3.8%
중소벤처기업부는 오영주 장관이 14일 부산중소벤처기업청에서 해외 진출 중소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부산은 우리나라 최대 무역항이 있는 곳이다. 2023년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인 2315TEU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해 작년 전체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3014TEU)의 약 77% 수준을 차지했다. 또 부산은 비수도권 중 가장 많은 수출 중소기업이
지난해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이 3014만TEU로 전년대비 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항만 개항 이래 역대 최대 실적이다.
해양수산부는 29일 2023년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이 고금리 기조와 러-우 전쟁, 중동사태 등 대외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전년(2882만TEU) 대비 4.6% 증가한 3014만TEU로 집
올해 2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은 소폭 줄었으나 중국 수출이 살아나면서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증가했다.
해양수산부는 2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7933만 톤)보다 1.6% 감소한 3억7316만 톤의 물량을 처리했다고 27일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1849만톤) 대비 0.5% 감소한 3억1695만 톤, 연안
중국의 리오프닝(Reopening)으로 다소 부진했던 대(對)중국 수출입 및 환적 물동량이 3월부터 반등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23년 1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9694만 톤)보다 2.2% 감소한 3억8827만 톤의 물량을 처리했다고 25일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3606만 톤) 대비 1% 감소한 3억3267만 톤, 연
정부가 2030년까지 약 2조 원을 투입해 전국 8개 항만에 총 3126만㎡ 규모의 항만배후단지 개발에 나선다.
해양수산부는 2030년까지의 항만배후단지 개발·운영계획을 담은 ‘제4차(2023~2030년)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을 확정해 16일 고시한다고 밝혔다.
항만배후단지는 항만기능을 지원하고 상품의 가공, 조립, 보관 배송 등 복합물류를 통
500억 투자,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건설무인운반로봇 등 첨단 물류 시스템 도입연간 처리 물동량 세 배 이상 늘어날 것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패션 전문기업 한섬이 온라인 의류만을 전담해 처리하는 전용 물류센터를 국내 패션업계 최초로 선보인다. 첨단 물류 인프라 구축을 통해 지속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패션업계 온라인 비즈니스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항만적체 상황에서도 완전자동화항만의 처리물동량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제2의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이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돼 우리나라도 완전자동화항만 도입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18일 발간한 KMI 동향분석 '완전자동화터미널, 글로벌 공급망 대란에서 그 안정성
8월 주요 항만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율이 전 세계 화물 적체 확대로 전월과 비교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26일 올해 8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이 1억2861만 톤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8.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중 수출입 물동량은 1억1074만 톤으로 전년대비 9.0% 증가했지만 7월(14.0%)과 비교해서는 소폭
맥쿼리한국인프라펀드(MKIF)는 상반기 운용 수익 및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8% 및 15.7% 증가한 2194억 원과 1956억 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당사는 이에 대해 투자 자산에서 받은 이자 및 배당 수익이 증가한 결과라는 입장이다.
MKIF의 12개 유료도로 투자 자산의 가중평균 통행량 및 통행료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5월 전국 항만 물동량이 전년대비 7.9% 증가하면서 2019년 8월(8.3%)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수출입 물동량도 8.9% 증가해 2019년 8월(8.9%) 이후 가장 크게 늘었다.
해양수산부는 2021년 5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3110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2153만 톤) 대비 7.9% 증가했다고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는 30일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17.8% 증가한 153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운용수익은 같은 기간 16.6% 증가한 1642억 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각 투자 법인으로부터 수령한 이자수익과 배당수익이 증가한 결과"라며 "12개 유료도로 투자자산의 가중평균 통행량 및 통행료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각 3.
3월 항만물동량이 13개월 만에 증가했다. 수출입물동량은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보급과 주요국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에 최근 수출이 증가하면서 해운물류도 본격적인 기지개를 켜는 모습이다.
해양수산부는 2021년 3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이 총 1억3587만 톤으로 전년동월대비 1.3% 증가했다
수출이 회복되면서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도 2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내수 불황으로 전국 무역항의 항만 물동량은 여전히 감소 추세다.
20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11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257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한 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2
9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증가해 6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도 대(對)중국 물동량이 증가한 영향이다.
2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9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234만TEU로 전년 동월(227만TEU) 대비 3.2% 증가했다. 물동량이 증가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이하 맥쿼리인프라펀드)가 올해 상반기 실적을 지난달 31일 발표했다. 회사 측은 여유 있는 차입 한도를 토대로 향후 신규 투자 기회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3일 회사에 따르면 상반기 펀드 운용수입은 191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순이익은 2.7% 오른 1690억 원을 기록했다.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수출이 4개월 연속 급감한 가운데 수출입 항만 물동량도 전년대비 9.9% 감소했다.
해양수산부는 21일 2020년 상반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7억4421만 톤으로 지난해 상반기 8억747만 톤과 비교해 7.8% 감소했다고 밝혔다. 특히 수출입 물동량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자동차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항만 물동량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해양수산부는 2020년 5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1874만 톤(t)으로 전년 동월(1억3498만 톤) 대비 12.0% 감소했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1~5월 누적으로는 5.7% 감소한 것이고 3월 2.7% 감소한 이후 3개월 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