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까지 우리나라와 호주 간 항로가 운송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는 항로로 바뀐다.
해양수산부는 10일 호주 정부와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9일 밝혔다. 녹색해운항로는 무탄소연료·친환경기술을 활용해 항만 간 해상운송 전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는 항로를 말한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규제 강화에
한화오션과 한화파워시스템이 글로벌 에너지 기술 기업 베이커휴즈와 손잡고 세계 최초로 무탄소 선박 추진 체계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개최한 ‘베이커휴즈 연례회의(Baker Hughes Annual Meeting 2025)’에서 베이커휴즈와 암모니아 가스터빈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공동개발할 암모니아 가스터빈
정부가 올해 2223억 원을 투자해 81척의 친환경선박 건조ㆍ전환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기본계획(2021∼2030년)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친환경선박 보급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정부는 2018년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공공부문에서는 선박 건조 시 친
에너지 인프라 전문 사모펀드 프로스타캐피탈은 한국사무소를 개소하고 맥쿼리 출신 한승훈 신임 대표를 선임했다고 16일 밝혔다.
2012년 미국 코네티컷주 그리니치에 설립된 프로스타캐피탈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에너지 인프라 투자사다. 투자은행(IB), 사모투자(PE) 경력을 보유한 투자금융 전문가들이 잠재력이 풍부한 미드마켓을 중심으로 투자하고 있다.
한만희 해외건설협회 회장은 30일 "우리 기업이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 회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부담 완화와 금리 인하, 유럽 정부의 회복 노력, 주요 신흥국의 경기 모멘텀 반등에 힘입어 내년도 세계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한국이 주도하는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 이니셔티브'가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글로벌 탄소중립 캠페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CF연합은 18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2024 CF연합 국제 콘퍼런스'를 열었다.
이날 콘퍼런스에는 안덕근 산업부
환경 관련 규제 강화 차원...역내 기업 경쟁력 보호과도한 규제로 역풍 맞을 수도...우려 목소리도
유럽연합(EU)이 중국 기업에 보조금 대가로 기술 이전을 요구할 계획이다.
EU 관계자에 따르면 EU는 12월 공고할 10억 유로(1조4735억 원) 규모의 배터리 개발 사업부터 사업에 참여하는 중국 기업은 유럽에 공장을 짓고, 기술 노하우를 공유
해운업 저탄소 대응 방식 세 갈래…①선박 ②연료 ③벙커링韓, 친환경 선박 보유·발주량 미진…867척 우선전환 목표친환경 연료 공급항만 확대 필요현재 통영항(LNG)·울산항(메탄올) 2곳서 공급BPA, LNG 이어 메탄올 벙커링·동시하역 작업 성공
강화된 탈탄소 규제에 대응해 글로벌 해운업계가 ‘저탄소 전환’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하지만 국내 주요 해운
한화오션은 싱가포르의 글로벌 해양 탈탄소화 센터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해양 탄소 중립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글로벌 해양 탈탄소화 센터는 해양산업의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싱가포르 해사 항만청과 6개의 기업·기관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비영리 단체다. BW 그룹, 하팍로이드, 노르웨이 선급(DNV) 등 10개 회사가
우리나라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다자협의체의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이 글로벌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다자 협의체인 기후클럽(Climate Club)의 운영위원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발표했다.
기후클럽은 파리협정의 효과적인 이행과 산업 부문 탈탄소화를 가속하기 위해 전 세계 42개국이 참여한 다자협의체이다.
지난해 12
AI 확대 따른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대응
미국 아마존닷컴이 16일(현지시간)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을 통해 데이터센터용 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3건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활용 확대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워싱턴주까지
정부와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가 해운산업 투자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수천억원 규모의 펀드를 출범시켰지만 올해까지 지원 실적이 목표치의 25%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해진공이 국내 선사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경영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
‘H2MEET 2024’, 25일 개막식 시작으로 개최역대 최대 규모 전시…24개국 317개 기업 참가현대차그룹, 고려아연 등 수소 선도 기업 전시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 수소 산업 전시회 ‘H2 MEET 2024’가 막을 올렸다.
H2 MEET 조직위원회(조직위)는 25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H2 MEET 2024’ 개막식을 열고 3일간의
국내 최대 규모 수소 산업 전문 전시회 참가그룹사 수소 기술 역량과 사업 비전 제시 리더십 확보 위해 그룹사 협업 체계 강화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시회에서 그룹사 수소 기술 역량을 결합한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시한다.
현대차그룹은 25~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H2 MEET 2024’에 참가해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북미‧유럽‧아시아 히트펌프 컨소시엄 연구진 초청…히트펌프 산업 선도 논의히트펌프 연구 글로벌 대학과 긴밀한 협력…HVAC 분야 R&D 강화한랭지 실증 결과 발표…히트펌프 제품 동향‧기술 주제로 세미나 진행8월 인베스터 포럼서 B2B 가속화 방향성 제시…글로벌 HVAC 사업 전략 발표핵심부품 내재화‧글로벌 생산기지 구축‧현지 완결 체제로 글로벌 시장 공략
스코다 그룹 산하 스코다 일렉트릭과 MOU수소 전지 기술, 친환경 차량 확대 등에 협력
현대자동차가 체코 스코다 그룹과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에 협력한다.
현대차는 20일(현지시간) 체코 프라하에서 스코다 그룹 산하 스코다 일렉트릭과 ‘수소 경제와 지속 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한국 주도로 진행 중인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 이니셔티브'에 대해 에너지 분야 대표 국제기구인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지를 선언하고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프레스센터 20층에서 파티 비롤(Fatih Birol)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과 기자 회견을 열고 '한-IEA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비롤 사
한국과 미국의 에너지 장관이 만나 양국의 정례적인 민관 협력 채널을 구축하기로 뜻을 모았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7~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를 찾아 을 방문, 제니퍼 글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한-미 에너지장관회담'을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한-미 에너지장관회담에서 양국은 탄소 배출 감축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포스코이앤씨, 대우건설, 스마트파워, SK에코플랜트, 롯데케미칼 등 민간기업이 함께 참여해 산업 공정열을 공급할 수 있는 고온가스로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31일 밝혔다.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산업 전 분야에서 탈탄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50억톤의 온실가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