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홍수와 가뭄 등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먹는 물 관리 강화 등 안전한 물관리 체계를 만들기 위해 내년 1조71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먼저 환경부는 노후화가 계속되는 댐, 상하수도 등의 물관리 기반시설에 스마트 관리체계를 도입한다. 스마트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드론 기반 안전점검, 빅데이터·인공지능(AI) 분석을 활용한 안전
환경부는 비가 내릴 때 넘치는(월류) 하수 관리를 강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하수도법' 개정안이 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먼저 개정안은 월류 관리 강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장이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강우 시 하수 처리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도록 하고 수질과 수량을 모니터링하는 의무를 부여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은 마하티르 빈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실질 협력과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마하티르 총리가 지난해 5월 재취임한 이후 첫 공식 방한을 한 데 환영의 뜻을 밝히는 한편, 마하티르 총리의 혜안으로 말레이시아가 역동적 발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업체가 앞에선 처리 지원금을 받고, 뒤로는 오폐수 불법 배출을 한 뒤 액비 처리로 다시 지원금을 신청까지 하다가 덜미를 잡혔다.
환경부는 가축분뇨 7월 27일부터 31일까지 오ㆍ폐수 배출시설 95곳 일제 단속 중간결과, 가축분뇨 폐기물 불법처리 및 오수 불법배출 등 19곳(20건)을 적발(적발률 20%)했다고 12일 밝혔다. 환경부는
서울시가 강서구 마곡지구에 오수와 빗물을 완전 분류하는 하수관리 시스템을 조성한다. 완전분류식 하수관리 시스템 도입은 서울에서는 마곡지구가 처음이다.
서울시는 마곡지구 생활단지의 오수관은 인근 서남물센터로, 유수관은 한강으로 각각 연결하는 '완전분류식' 하수관로 체계를 내년 6월까지 완료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내 1만487.1km에 이르는 하수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