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이 작년보다 13.9% 오른 1조1833억원으로 결정됐다. 내년부터는 4년 동안 국방비 인상률을 반영해 조정된다.
청와대는 10일 브리핑을 열고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에 대해 6년간 유효한 협정을 타결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외교부 역시 한미 양국이 5∼7일 미국 워싱턴에서 9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11차 방위
트럼프 대통령이 5배 증액을 요구했던 한미 방위비가 13% 수준에서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측이 요구했던 인상 수준이다.
11일(현지시간) 미국 CNN은 "한국과 미국이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를 두고 합의에 근접했다"고 정통한 관계자 5명을 인용해 보도했다.
CNN은 한국의 방위비 분담 비율을 기존보다 13% 인상하는 안에 양국이 합의
한국과 미국이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를 두고 합의에 근접했다고 미국 CNN방송이 정통한 관계자 5명을 인용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양국은 한국의 방위비 분담 비율을 기존보다 13% 인상하는 안에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관계자 2명이 전했다.
최종 합의에는 한국 국방 예산의 의무적인 확대와 한국이 일부 군사 장비를 구매할 것임을 양측이 이해
올해 우리나라가 부담하는 주한미군 주둔비용이 작년보다 8.2% 인상된 1조389억 원으로 정해졌다.
한국과 미국의 방위비분담금 협상 수석대표인 장원삼 외교부 방위비분담협상 대표와 티모시 베츠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 대표는 10일 오후 2시30분께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제10차 방위비분담금 특별협정문에 가서명했다.
협정은 미국 측이 제시한
전 세계 국방예산이 지난해 미군의 아프가니스탄과 이란 철군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를 보였다고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집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SIPRI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국방예산은 총 1조6760억 달러(약 1927조원)로 전년보다 1% 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의 2.3%에 해당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