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주일간 학생들과 함께 옛날 중국의 실크로드를 체험하는 소중한 기회를 가졌다. 고대 중국 당(唐)나라의 수도인 시안(西安)에서부터 란저우(蘭州), 우웨이(武威), 장예(張掖), 주취안(酒泉)을 거쳐 명(明)대에 건설한 만리장성의 서쪽 끝인 가욕관(嘉峪關)까지 이르는 꽤 긴 장정이었다.
이 길은 AD 139년 장건(張騫)이 한무제(漢武帝)의 명을
역사는 미래다. 추격에서 탈(脫)추격으로의 전환은 과학기술과 경제력을 넘어 국가 정체성에 기반한 국민들의 공유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가 성장 자료의 분석 결과 국민 소득 3만 달러를 경계로 과학기술에서 공유가치로 국가 성장동력이 전환되고 있다. 국민들의 상호 신뢰와 자부심이 없는 국가가 일류 국가로 성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공유가치의 근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이달 초 정상회담이 뒤늦게 다시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정상회담 당시 한국은 중국의 일부였다는 시 주석의 발언을 소개한 것이 논란을 일으킨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1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한국은 중국의 거듭된 침략에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논평이 의미심장하다. 스스로 무덤을 파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차 세계대전 이후 핵은 공격용 무기로 사용된 적이 없다. 핵폭탄은 강력한 고슴도치형 방어 무기라는 것이 현실적 인식이다. 북한의 선제 핵 공격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 역사적 맥락이다. 핵 공격은 바로 자폭이기 때문이다. 이제 북한이 외부 침입에
이덕일 역사학자·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
조선총독부 직속의 조선사편수회는 중국 한나라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세운 한사군(漢四郡)의 위치를 한반도 북부라고 확정지었다. 한국사는 식민지의 역사로 시작되었으니 일본의 식민지가 된 것은 역사적 귀결이라고 주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문제는 해방 후에도 친일청산에 실패하면서 이런 식민사관, 즉 조선총독부
이덕일 한가람연구소 소장
필자는 90년대 초반 중국 서점에 처음 갔을 때 ‘사기(史記)’ ‘한서(漢書)’ 등이 문고판으로 판매되는 것을 보았다. 주로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발간했는데, 특이한 것은 지금 중국에서 사용하는 간체자(簡體字)가 아니라 옛날부터 쓰던 번체자(繁體字) 서적들이었다. 이런 사료들만 간체자가 아니라 번체자로 간행하는 데서 고대 사료
허성관(전 광주과학기술원 원장)
계간지 ‘역사비평’ 2016년 봄호는 ‘기획1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 역사학 비판’이라는 주제로 세 편의 논문을 실었다. 한국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은 이 세 편의 논문을 거의 요약 전재하는 형태로 대서특필했다. 이 과정에서 윤내현, 신용하, 이덕일, 복기대는 졸지에 박사학위를 가진 사이비 역사학자로 일반 대중에게 전달되
이도상 역사학자
1.민족의 이름과 기원에 대한 합의가 절실하다.
교육은 곧 우리의 미래다! 그런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역사교육은 실증사학이라는 명분으로 민족의 기원을 폄훼하고 부정하는 내용뿐이다. 이는 청소년들의 민족에 대한 자존심을 훼손하고 자아를 상실케 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역사학계는 이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은커녕 편을 갈라 상
한국사, 특히 한국고대사의 서술 체계에 대해 의문이 제기된 것은 오래되었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 계속된 장구한 의문이다. 그 단적인 예가 이종찬 전 국정원장의 문제 제기이다. 어려서 항일가문에서 배웠던 역사와 지금 학교에서 가르치는 역사가 왜 다르냐는 것이다. 지금의 역사서술 체계가 조선총독부에서 만든 식민사관이 아니냐는 항변이다. 해방 이후에도 조선총독부
광복 70년간 우리는 세계가 놀란 한강의 기적을 이룩했다. 그러나 아직 역사 광복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국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만든 ‘중국의 한사군(漢四郡)이 한반도 북부를 차지했고 일본의 임나일본부가 한반도 남쪽을 경영했다’는 일제 식민사관이 아직도 역사학계에 남아 있다. 추격에서 창조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역사는 미래 창조의 거울이다. 왜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