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계가 정부의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안에 대해 일제히 환영했다. 다만 대체근로 허용 등 노사 간 힘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법제도 개선 내용이 제외된 것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고용노동부가 노동시장 개혁 추진방향에서 밝힌 근로시간 제도 개선과 임금체계 개편의 방향성에 대해 공감하며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낡은 노동법과 중대재해 처벌법 등 각종 규제로 우리 기업들은 한 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상항에 놓여있어 무엇보다 근로기준법제 선진화 방안이 시급하다.”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4차 산업 혁명과 디지털 산업의 급격한 변화 속에 기업들이 경쟁력을 찾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법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0일
산업구조·노동시장 환경 등 모든 것이 급변하는 시대를 맞아 고용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선 1953년에 머물러 있는 근로기준법제를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취업 규칙 변경 절차를 간소화하고 해고 규제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골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0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근로 기준법제 개선 방안’ 토론회에서 고용 유연성 제고
중소기업 대표 네 명 중 한 명은 문재인 정부에서 반드시 채택돼야 할 중소기업 공약으로 생계형 적합업종 법제화, 징벌적 손해배상제 강화, 일감 몰아주기 근절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CEO 300명을 대상으로 문재인 대통령 당선 직후인 10일부터 15일까지 ‘제19대 대통령에 바란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해고제도 개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콘퍼런스센터에서 ‘한-일 해고법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의 개회사를 맡은 임상혁 전경련 전무는 “산업화시대 형성된 고비용-저효율의 연공서열식 고용관행을 4차 산업혁명기에 맞춰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전환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말했다.
우리
대단히 유명하지는 않지만, 창조성 하나로 경쟁업체들의 시샘을 한껏 받던 한 기업이 몇 년 전 베트남으로 훌쩍 떠버린 적이 있다. 당시 필자는 이 업체 대표와 인터뷰하면서 그가 그토록 사랑하는(그는 해병대 출신이었다) 조국을 배신할 수밖에 없었던 절절한 사연을 들을 수 있었다.
“지난해 영업과장 경력직을 뽑는 공고를 냈더니 한 사람이 찾아왔는데, 성격도 좋
올해 박근혜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이자 4대 개혁의 화두는 바로 ‘노동시장 개혁’이었다. 그 중심에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있다. 이 장관은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에 맞서 정리해고 법제화 등에 합의했던 1998년 2월 노사정 대타협 이후 17년 만에 노동시장 구조개선 방안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낸 주역으로 평가받는다.
행정고시 25회 출신
노동시장 구조개편을 위한 노·사·정이 협상 시한을 넘기면서도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것은 '정규직 과보호론'에 대한 각자의 해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정규직 과보호론 갈등에는 해고요건 완화가 자리해 있다.
지난 1998년 노사정위가 정리해고 법제화 합의를 하자 민주노총이 노사정위 탈퇴와 사회적 대화 중단을 선언히도 했을 만큼 해고 요건 완화는 노사정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