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원전)에 대한 정부의 정책 변화가 필요하단 지적이 나온다. 탄소중립이 시대적 과제로 떠오른 만큼 탄소 배출이 적은 원전을 감축 대상이 아닌 주요 에너지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에너지값이 폭등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그린에너지와 병행하는 ‘에너지 믹스’차원으로
하늘이 구름 한 점 없이 맑고 푸르렀던 지난 16일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원자력 발전소를 찾았다. KTX를 타고 울산역에 내려 한 시간 가량 걸리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 원자력본부로 가는 길에 ‘40년간 희생해 온 지역주민은 호구냐?’라는 플랜카드가 눈에 띄었다.
‘원자력’이라는 이름은 근대화를 상징하는 긍정적인 이미지였다. 1978년
한국수력원자력이 30일 중국 최대 원전 운영사인 CNNP(China National Nuclear Power)와 동북아지역의 원전 안전성을 높이고 방사능 방재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한ㆍ중 양국은 1992년 수교 이후 분야별 기술교류, 인력파견, 교육 등에서 부분적으로 협력해왔으나 원전 운영사가 직접 기술교류 회의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전 안전에 사활을 걸었다. 한수원은 특히 최근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이 국가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주력한 안전성 확보를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안전성 검증 거친 고리1호기는 계속 운전 = 한수원은 고리1호기에 대해 2017년까지 계속 운전하도록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승인받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설비를 교체
한국수력원자력은 1일 고리 원전의 콘크리트 해안방벽을 종전 7.5m~9.5m 수준에서 10m 높이, 총 연장 2.1km로 증축하고 준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로써 고리 원전은 충분한 안전 여유고를 확보, 향후 어떤 자연재해가 닥치더라도 끄떡없는 철벽 안전 방어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이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안전 개선대책의 일환으로 해안방벽 증축
한국수력원자력이 지진, 해일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고리원전 1, 2호기 해안방벽을 10m 높이로 증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정부는 지진, 해일 등 대형 자연재해로 인한 원전의 중대사고 발생 가능성과 처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국내 전체 원전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정부 조사 결과 국내 원전은 국내 또는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
정부가 원전 안전점검 결과 5년간 1조원을 투입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6일 원자력안전위원회를 개최한 후 브리핑에서 3월 22일부터 4월말까지 21개 가동중인 원전과 연구용 원자로 등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 현재까지 조사 연구를 통해 예측된 최대 지진과 해일에 대해서는 국내 원전이 안전하게 설게 운영되고 있음이 확인됐다"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