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미플루는 안 들어온 지 꽤 됐고요. 콜대원도 찾는 사람이 많아서 물량이 달리네요.”
최근 독감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독감 치료제의 수급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제약회사들은 수요 급증을 고려해 치료제 유통량을 늘리고,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4년 마지
최근 독감(인플루엔자)을 비롯해 노로바이러스, RSV(호흡기 융합세포바이러스)까지 다양한 바이러스가 유행하면서 국민 건강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독감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전문가들은 빠른 예방과 진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현재 감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절반 정도가 독감으로
유바이오로직스는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SV) 백신 ‘EuRSV’의 국내 임상 1상을 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유바이오로직스는 1월 임상 1상 승인을 받고 3월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를 통과해 임상 지원자 3명에게 첫 투여를 시작했다. 이번 임상은 국내 개발 최초의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 백신 임상이며, 만 19세 이상 80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이르면 11월에 재유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회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는 재유행에 대비하기 위해선 코로나19 변이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신 연구위원은 24일 새로운 변이에 의한 국내 코로나19 7차 대유행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대비해야 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