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혹하게 살해된 홍콩 모델 애비 최(28)의 신체 일부가 발견됐다.
27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홍콩 경찰이 애비 최의 시신 일부를 찾아냈다.
앞서 애비 최는 지난달 21일 딸을 데리러 나갔다가 실종, 24일 타이포 지역 한 주택의 냉장고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다. 당시 신체의 일부만
최근 6개월 새 3개 민주진영 매체 폐간돼
홍콩 민주진영 매체 시티즌뉴스가 2일(현지시간) 폐간을 발표했다. 지난해 6월 빈과일보를 시작으로 지난달 말 입장신문이 폐간을 발표한 데 이어 세 번째다.
CNN에 따르면 시티즌뉴스는 이날 페이스북 계정에 4일부터 뉴스 업데이트가 중단되며 일정 기간 홈페이지가 삭제될 것이라고 밝혔다. 폐간 사유에 대해서는
연말에도 홍콩 당국의 언론인 탄압이 계속되고 있다. 경찰이 29일 민주주의 성향 온라인 매체 입장신문(立場新聞·영문명 스탠드뉴스)의 편집부국장이자 홍콩기자협회장인 론슨 챈을 연행하고 있다. 챈과 편집국장인 패트릭 람을 포함해 입장신문의 전·현직 간부 6명이 체포됐다. 홍콩 경찰 내 홍콩 국가보안법 담당 부서인 국가안전처는 이들이 선동적 출판물 발간을 모의한
학생 6명 포함한 독립운동 단체 소속1일에는 경찰 피습한 남성 극단적 선택가해 남성 추모 행렬 이어지기도
중국과 국가보안법에 대한 홍콩 시위대의 저항이 날로 거세지고 있다. 지난주 홍콩 경찰이 시민에게 공격을 당해 중태에 빠진 데 이어 이날 폭탄 테러 모의 혐의로 시민 9명이 체포됐다.
6일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경
1년 새 민주 운동가 체포 건수 100건 이상전인대서 선거제 개편...중국 영향력 커져빈과일보 폐간 등 언론 탄압 본격화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30일 자로 발효 1주년을 맞는다. 1년 새 홍콩에선 수많은 민주 운동가가 구속되고 반중 매체가 폐간하는 등 많은 일이 벌어졌다고 29일 일본 닛케이아시아(닛케이)가 전했다.
해당 법안은 홍콩 내 반정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편집국장 등 임원진 5명 자택 급습해 체포
홍콩 경찰이 반중 매체 빈과일보 편집국장 등 임원진을 체포하고 26억 원 규모의 회사 자산을 동결했다.
17일(현지시각)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경찰은 라이언 로 빈과일보 편집국장과 임원진 등 총 5명을 자택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하고 빈과일보와 관
웨스트카오룽 치안법원서 기습 시위미국, 영국, EU 등 각국 영사도 참석민주인사 47명 국가 전복 혐의로 재판 출석
홍콩 법원이 민주화 운동가들을 국가 전복 혐의로 대거 기소한 가운데, 이에 항의하는 시위대의 기습 시위가 법원 앞에서 벌어졌다.
1일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날 기소된 인사들의 출석을 앞두고 수백 명의 지지자
홍콩에서 민주화 운동 단체가 재차 '자진 해산'을 선언했다. 지난해 7월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시행된 후 여러 민주화 운동 단체와 야당이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해 해산 결정을 내리고 있다.
28일 대만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홍콩의 민주화 운동 단체인 '민주동력'(Power for Democracy)은 전날 페이스북에 해산한다는 내용으로 성명을 발
홍콩 민주화 운동가이자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감 중인 조슈아 웡이 감옥에서 다시 한번 체포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번엔 국가전복 혐의다.
7일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경찰은 이날 오전 야당 소속인 탐탁치 전 의원과 조슈아 웡을 옥중 체포했다. 앞서 전날 경찰은 국가전복 혐의로 53명의 운동권 인사
보안법 성립 이후 최대 규모 야당 인사·우산혁명 주역 등 활동가들 대거 포함
홍콩 정부가 새해 벽두부터 민주주의 진영 탄압에 나섰다.
홍콩 경찰이 6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민주파 인사 50여 명을 무더기로 체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경찰은 이날 오전 6시께부터 체포 작전을 시작했다. 당국은 지난해 7월
22세 여성 시위자, 독일 망명허가 받아홍콩 정부 “중국 내부 문제...외국 간섭 말아야”
독일 정부가 지난해 홍콩에서 반정부 시위운동을 하다 기소된 학생에게 망명을 허가했다. 홍콩 정부는 범죄자를 숨겨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특히 ‘중국 내부 문제’라고 언급하면서 독일과 중국간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경찰 14명, 라이 법원 출두 전 사무실서 문서 압수라이 소유 언론사, 지지 의사 표시 시민에 주가 최대 38% 폭등
홍콩 경찰이 15일(현지시간) 대표적인 반중(反中) 인사이자 언론재벌인 지미 라이 사무실을 압수 수색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라이는 한국에서 패스트패션 브랜드 ‘지오다노’ 창업주로 유명하며 일간지 빈과일보를 발행하는 넥스트디지털
시작은 ‘범죄인 송환법’ 반대 시위였다.
2019년 6월, 100만 명 넘는 홍콩인이 거리로 나와 중국으로의 범죄인 송환법(범죄인 인도조례)에 항의했다. 장기화하는 시위에 공권력이 투입되면서 평화롭던 시위는 폭력으로 얼룩지기 시작했고, 중국 본토까지 개입하면서 결국 홍콩 민주화 시위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 홍콩 주권을 탄압하는 국가보안법(홍콩
홍콩 민주화 운동가 26명이 불법 집회 참가 혐의로 법원에 출두했다. ‘우산혁명’을 이끈 대표적인 홍콩 민주화 운동가 조슈아 웡과 빈과일보 사주 지미 라이 등 유력 인사들이 모두 관련 혐의로 기소됐다.
15일(현지시간) 교도통신에 따르면 민주화 운동가들은 6월 4일 톈안먼 시위 희생자 추모 집회에 참석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선동한 혐의로 기소됐다. 경찰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촬영 등 각종 논란에 시달렸던 월트디즈니의 야심작 ‘뮬란’이 중국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개봉 성적을 냈다. 박스오피스 1위는 달성했지만, 관객 반응은 미적지근했다.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11일 중국에서 개봉한 뮬란은 주말 동안 2320만 달러(약 274억 원)를 벌어들였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최신작 ‘
중국 정부가 월트디즈니의 신작 ‘뮬란’에 대한 보도를 금지했다고 10일(현지시간) 미국 CNBC방송이 보도했다. 디즈니의 야심작이었던 뮬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신장위구르자치구 촬영 등 연이은 악재에 직면하게 됐다.
익명의 관계자 4명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현지 주요 언론매체에 “뮬란의 개봉을 보도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
달러가 전 세계를 지배하면서 미국이 중국과의 서로에 대한 제재 부과 전쟁에서 우위에 있다고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진단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는 최근 몇 개월 동안 10명이 넘는 중국 관리와 수많은 기업들에 제재를 가했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으로 홍콩 일국양제 체제를 무너뜨리거나 신장위구르자치구 내 무슬림에 대한 인권 탄압 등 다
월트디즈니가 최신 개봉작 ‘뮬란’에서 중국 정부 기관에 감사를 표시했다고 강한 역풍을 맞고 있다.
영화 뮬란의 엔딩 크레딧에 표시된 감사 대상에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무슬림을 대상으로 인권 탄압을 자행했던 8개 중국 정부 기관이 포함돼 논란을 빚고 있다고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아카데미상 미술상 수상자이자 뮬란 제작에
홍콩의 대표적인 반중 인사이자 언론 재벌인 지미 라이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자 홍콩 시민이 그에 대한 연대를 보여주기 위해 앞다퉈 해당 기업 주식을 매입했다. 덕분에 지미 라이 소유의 미디어 업체이자 빈과일보를 발행하는 넥스트디지털 주가가 이틀 동안 최대 1000% 이상 폭등해 6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고 11일 블룸버그통신이
10일 아시아증시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독자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관련 추가 부양안을 내놓은 영향이다. 다만 홍콩증시는 이날 언론 재벌 지미 라이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후 하락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5% 상승한 3379.25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