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시장이 봄 성수기를 맞이했지만 청약홈 개편 영향으로 물량은 지난달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4일 프롭테크 기업 직방에 따르면 3월 분양예정 물량은 16개 단지, 1만6281가구로 조사됐다. 2월 실적과 비교하면 37% 줄어든 수치다. 3월 청약홈 개편이 예정돼 있어 분양시장이 일시 휴지기에 접어든 영향이다.
수도권에서는 4161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안정적인 고소득 수요를 확보하고 개발에 따른 지역 가치 상승까지 누릴 수 있는 산업단지 인근 부동산 시장이 뜨겁다. 경기 평택과 충북 청주 일대 산업단지 주변에서 분양한 단지는 청약 경쟁률 고공행진 중이다.
12일 청약홈 등에 따르면, 충북 청주 테크노폴리스에서 분양한 ‘신영지웰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은 평균 73.7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대구와 경북으로 철길은 물론 신공항 사업까지 추진되면서 일대 부동산 가치 상승이 예상된다. 앞서 교통 호재로 집값이 대폭 오른 단지가 늘어난 만큼 대구와 경북지역도 교통 개발 완료 시 집값 상승이 이어질 전망이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는 대구경북통합 신공항을 비롯해 부울경에서는 가덕도 신공항 등의 공항조성 사업 추진이 한창이다. 가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1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이 4만2388가구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전년 동월(3만4474가구) 대비 23.0%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은 7421가구로 전년 동월(4832가구)보다 53.6% 늘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2만3208가구로 전년 대비 43.6% 증가했다. 지방은 2만7536가구로 30.6% 늘었다.
유
아파트와 빌라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올해 전국 평균 19% 넘게 올랐다. 지난달 공시가격 열람 이후 5만 건에 육박하는 하향 요구가 쏟아졌지만 국토교통부는 단 2300여 건만 수용했다. '깜깜이 산정' 논란을 벗겠다고 내놓은 공시가격 산정 기초자료도 미흡한 수준이어서 조세 저항 움직임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국토부는 2021년도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아파트와 빌라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올해 전국 평균 19% 넘게 오른다. 지난달 공시가격 열람 이후 4만8000건 넘는 하향 요구가 쏟아졌지만 국토교통부는 2300여 건만 수용했다.
9억 넘는 종부세 주택, 지난해보다 20만 가구 늘어국토부는 전국 공동주택 1420여만 가구의 2021년도 공시가격을 29일 자로 결정ㆍ공시한다.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
올해 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총 1만578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만7130가구) 대비 7.8% 감소한 것이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2월 3만9456가구, 같은 해 6월 2만9262가구, 10월 2만6703가구, 올해 2월 1만5786가구로 꾸준히 급감하고 있다.
2월 말 기준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서울 고덕강일지구와 위례지구에서 7년만에 2500가구가 넘는 대규모 국민임대주택이 공급된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2013년 세곡, 마곡, 신내지구에서 2571가구를 공급한 이후 7년 만에 고덕강일지구와 위례지구에서 국민임대주택 2519세대를 공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모집공고 됐으며, 온라인 청약은 6월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롯데건설이 길음1 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사업지에 공급하는 '롯데캐슬 클라시아' 무순위청약 사전접수에 3만 명 가까이 몰렸다.
24일 금융결제원이 운영하는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이달 22~23일 무순위청약 사전접수를 실시한 결과 2만9209명이 신청했다.
주택유형별로보면 59㎡B타입에 9090명이 신청해 접수건이 가장 많았다. 84㎡A타입에 7466
20일부터 청약 예비당첨자 비율이 확대된다. 무순위청약(사전, 사후)에 몰렸던 ‘줍줍족’을 막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이날부터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내는 분양 단지는 예비당첨자 비율을 공급 물량의 500%로 설정해야 한다. 9일 국토교통부가 투기과열지구의 예비당첨자 비율을 기존 전체 공급 물량의 80%(기타 40% 이상) 수준에
롯데건설은 오는 17일 견본주택을 열고 서울 성북구 길음동 508-16번지 일대에 위치한 '롯데캐슬 클라시아' 분양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이 단지는 길음1 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사업으로 지하 6층~지상 37층, 19개 동, 전체 2029가구 규모이다. 이 중 일반분양은 637가구로,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59㎡ 311가구 △84㎡ 298가구 △11
5월 아파트 분양은 과천지식정보타운, 위례신도시, 세종시 등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지구에 집중된다.
7일 직방에 따르면 올해 5월은 62개 단지, 총 5만8811가구 중 4만4218가구가 일반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이달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개 단지, 총가구 수 3만1441가구(115% 증가), 일반분양 2만2132가구(100%
롯데건설은 이달 중에 서울시 성북구 길음동에 위치한 '롯데캐슬 클라시아'를 분양한다고 7일 밝혔다.
단지는 길음1 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사업지다. 지하 6층~지상 37층, 19개 동, 2029가구 규모다. 일반분양은 637가구다.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59㎡ 311가구 △84㎡ 298가구 △112㎡ 28가구로 구성돼 있다.
단지는 지하철 4호선
올해 상반기 재개발 대어로 손꼽힌 중화1구역 재개발 사업 수주전이 SK건설·롯데건설의 승리로 끝마쳤다.
29일 중화1구역 재개발 조합에 따르면 SK건설·롯데건설 컨소시엄이 현대산업개발·KCC건설을 제치고 최종 시공사로 선정됐다.
올해 상반기 시공권 물량 중 가장 눈길을 끌었던 중화1구역 재개발 사업은 서울 중랑구 중화동에 지하 2층~지상 35층, 아
2개월째 증가세를 보이던 전국 미분양 주택이 소폭이지만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25일 국토교통부는 1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월(6만1512가구)대비 1.5%(906가구) 감소한 총 6만606가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도 1월말 기준으로 전월(1만518가구)대비 0.9%(96가구) 감소한 1만422가구로
서울시 SH공사가 지난달 모집공고한 국민임대주택 637가구에 대해 1만2297명이 접수해 평균 경쟁률이 19대 1을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공급은 신규 공급 단지인 상계보금자리지구와 기존 임대주택에서 퇴거 등으로 발생한 잔여 공가(空家)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공급 규모는 전용면적 39∼59㎡, 임대보증금은 1915만∼6886만원, 월 임대료는 20
서울시 SH공사는 상계보금자리지구 등 20개 지구에서 국민임대주택 637가구를 공급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되는 물량 중 노원구 상계보금자리지구에서는 49㎡(이하 전용면적) 115가구가 신규 공급되고, 강동구 강일지구 등 19개 지구에서 기존 입주자의 퇴거 등으로 발생한 잔여공가 522가구가 공급되며 세부적으로 △39㎡ 152가구 △49㎡
이번 달 전국 입주물량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절반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12월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국민임대 제외) 입주물량은 총 24곳 1만3183가구다. 11월 입주물량인 1만9543가구와 비교해 6360가구가 줄었고 작년 12월(2만7974가구)에 비해서는 1만4791가구나 크게
12월에는 전국 1만7764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지난 해 같은 달(3만2463가구)과 비교해 45.3%(1만4699가구) 줄어든 물량이며 최근 3년간 공급된 12월 평균 물량(2만9597가구)과 비교해도 상당히 적은 물량이다.
또한 내년 상반기 예정입주 물량(10만8144가구)도 올해 상반기(13만505가구)대비 17.1%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재개
7월달 전국 입주 물량이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이번달에 비해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19일 부동산114는 7월은 전월(3만2189가구)대비 28%(8979가구) 감소한 전국 2만3210가구의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공급된다고 밝혔다.
장마와 휴가철이 시작되는 비수기에 접어들기 때문에 전월보다 공급량이 다소 감소한다는 것. 지역별로 지방은 전월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