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지난 3분기 북미 시장에서 애플에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내줬다.
11일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 7∼9월 북미 지역에서 스마트폰 출하량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 33.1%로 1위에 올랐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무려 8.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전 분기 1위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로 시장 점유율
이동통신 3사가 전용 단말기 경쟁 2라운드에 돌입했다. 업체마다 전용폰 라인업을 늘리면서 치열한 가입자 쟁탈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22일 중국의 TCL-알카텔이 만든 스마트폰 ‘쏠(Sol)’을 자사 가입자들을 위한 전용폰으로 공식 출시했다. 지난해 출시해 15만대 이상 팔린 ‘루나’의 후속 제품이다. 루나는 달을, 쏠은 태양을 각각 의
스마트폰에 이어 태블릿 시장에서도 중국의 힘이 거세지고 있다. 중저가 제품을 내세운 중국 업체들은 글로벌 태블릿 판매량의 절반을 팔아치우던 애플과 삼성전자[005930]를 밀어내고 서서히 시장을 장악하는 모양새다.
18일 미국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에서 팔린 태블릿 가운데 화이트박스 제품이 28.4%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매출 점유율이 3년 만에 10%대로 떨어졌다.
23일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가 발표한 작년 4분기 세계 스마트폰 매출 점유율 현황에 따르면 삼성의 작년 4분기 매출 점유율은 17.2%로 2011년 4분기(19%) 이후 3년 만에 10%대로 떨어졌다.
반면 1위 애플은 아이폰6의 인기에 힘
‘시장 원리’보다 ‘정부 개입’을 택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하 단통법)에 대한 평가가 혹독하다. 단통법 시행 이후 이동통신 3사의 마케팅 비용은 예상과 반대로 오히려 늘었고, 불법 보조금은 여전히 여기저기서 포착되고 있다. 특히 외산폰의 영향력 확대는 단통법 시행 당시 전혀 예상치 못했던 역풍이라는 분석이다.
3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SK텔레콤이 중국산 스마트폰의 국내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LG유플러스가 화웨이 스마트폰을 취급한 이후 두 번째다.
20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중국 3위 가전업체 TCL-알카텔이 만든 단말기로 망 연동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고 이르면 상반기 중 국내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 스마트폰은 5인치 디스플레이에 반사를 줄이는 기능이 탑재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