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판정 후 회생…외국에선 유사 사례 있어

입력 2014-11-21 13: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부산의 한 병원 응급실에서 사망판정을 받은 60대 남성이 영안실 냉동고에 들어가기 전 살아난 일과 관련해 의학계에서는 극히 드물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18일 오후 1시 45분께 부산시 사하구 괴정동의 한 주택에서 쓰러진 채로 발견된 A(64)씨는 인근 대학병원 응급실로 옮겨져 심폐소생술을 받았지만, 결국 사망 판정을 받았다.

이미 병원 도착 전 사망한 상태(DOA·Dead On Arrival)였고 15분 이상 심장 박동이 정지됐기 때문에 병원 측은 A씨가 숨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경찰이 영안실에서 A씨를 마지막으로 검안하는 과정에서 숨을 쉬는 것을 발견하고 다시 응급치료를 받아 기적같이 살아났다.

이후 A씨는 현재 대화는 힘든 상태지만 혈압과 맥박이 정상이며 의식도 일부 돌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A씨의 기적 같은 회생은 국내에서 유사 사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드문 일로 알려졌다.

A씨를 검안한 경력 10년차의 검안의사는 "사망판정을 받은 사람이 다시 깨어난 것은 처음 봤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병원의 책임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의학계에서는 극히 드물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는 반응을 보였다.

부산의 한 응급의학과 교수는 "환자가 저체온일 경우 심장과 맥박 등이 약하면 정밀한 의료기기에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며 "심정지 상태가 수분간 지속한다면 의학적으로 사망판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일반인의 시각에서는 산 사람을 죽었다고 판단한다는 것이 말이 안 되지만 멕시코, 남태평양 피지 등지에서 비슷한 사례가 학계에 보고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15,000
    • +0.6%
    • 이더리움
    • 4,059,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78,000
    • +0.17%
    • 리플
    • 4,003
    • +4.49%
    • 솔라나
    • 255,100
    • +0.55%
    • 에이다
    • 1,165
    • +2.28%
    • 이오스
    • 949
    • +2.48%
    • 트론
    • 355
    • -2.2%
    • 스텔라루멘
    • 505
    • +2.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50
    • -0.18%
    • 체인링크
    • 26,950
    • +0.07%
    • 샌드박스
    • 546
    • +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